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제목과 리뷰를 수없이 많이 보았지만 이번에 처음 읽었다. 편의점이 처음 우리나라에 생겼을 때 24시간 동안 문을 여는 가게라는 것이 정말 신기하게 느껴졌다. 남들이 다 자는 밤새 누가 가게를 찾아 물건을 사는 사람이 있을까, 싶었다. 지금 생각해 보니 하루를 다르게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알겠다. 교대근무하시는 분들이나 밤낮을 바꿔 생활하는 직업을 가진 이가 생각보다 너무 많다.


사실 나는 편의점을 그다지 자주 가지 않는다.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혹은 대형 쓰레기 부착용 티켓을 살 때만 간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편의점을 이용한다. 먹어도 먹어도 배고픈 학생들의 아지트이기도 하고, 다른 곳보다 1+1, 혹은 2+1 행사가 많아 할인판매를 노리고 가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저번에 언젠가 물을 사러 갔다가 행사 상품을 골랐는데 하나만 구입을 했더니 점원 분이 왜 하나만 하느냐고 하셨다. 무거워서 하나만 가져가려는 건데 이상하게 생각을 하시며 그럼 제가 먹어도 될까요, 하고 말씀하셨다. 본의 아니게 선의를 베푼 건가? 어쨌든 편의점에서는 1+1의 기쁨을 간혹 누릴 수 있다.


이 책에는 사회생활을 편의점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한 여성이 등장한다. 30대 중반이 되도록 계속 편의점에서 일하고 있다. 일본도 편의점은 대부분 아르바이트인가 보다. 그동안 여러 점장이 거쳐 갔지만 후루쿠라는 그만둘 생각도, 제대로 된 다른 직업도 구할 생각도 없다. 편의점만의 소리에 너무나 익숙할 정도로 모든 생활이 편의점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먹는 이유도, 잠자는 이유도, 심지어 손톱을 깎는 이유도 편의점 근무를 위해서이다. 그런 그녀에게 획기적인 일이 일어난다. 직원이나 손님을 스토킹 하는 이유로 쫓겨난 스가와라를 우연히 만나 집에 들인 것이다. 참으로 대책 없는 듯 보이는 일이지만 책 초기에 소개되었던 어린 시절 그녀의 기행으로 이유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어쨌든 평범해 보였던 후루쿠라의 독특함은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후루쿠라의 집에 기생하다시피 하며 새로운 직장을 구하라는 뻔뻔하기 짝이 없는 스가와라도, 그를 집에 들이고 식비를 더 벌기 위해 연장 근무를 원하는 후루쿠라도 이해하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그런데 그보다 더 심한 건 그녀 자신이 편의점 인간임을 뼛속깊이 알아차리는 장면이다. 평범하지 않은 사람이 소설에 등장하는 게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이상하게 평범했던 앞부분보다 어디까지 하나 보자, 싶은 뒷부분이 훨씬 재미있게 다가왔다. 갑자기 우리 각자도 평범하지 않은 어딘가에 인이 박여 살아가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일을 해야만 편안해지고, 하지 않으면 불안한 무언가. 최선이 아님을 알고 있지만 놓을 수 없는 어떤 것을 우리는 저마다 가지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 말이다. 길지 않은 이 소설이 상을 받은 이유를 알 것 같다.


책날개에 이 책을 출간할 당시에도 저자는 편의점에서 주 3회 일을 하고 있다고 적혀 있다. 어쩌면 후루쿠라는 저자의 분신일지도 모르겠다. 지금도 아직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을까? 앞으로 편의점에 갈 때마다 편의점 소리를 귀 기울여 듣게 될 것 같다. 평범함과 묘함의 경계를 넘나들며 일반적인 세상 이야기에 묘한 것을 집어넣고 싶다(책날개)는 저자의 다른 책도 읽어보고 싶다.


* 목소리 리뷰

https://www.youtube.com/watch?v=8pxJynBez_Q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