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책 쓰는 글쓰기 - 독자를 넘어 저자로
명로진 지음 / 바다출판사 / 2015년 3월
평점 :
자주 가던 도서관보다 생긴 지 좀 오래된 도서관에 읽을 책이 훨씬 많은 걸 알고 요즘은 조금 떨어진 곳에 가서 책을 빌린다. 이 책도 그렇게 만났다. 오래전에 한 번 빌렸다가 읽지 않고 반납했던 기억이 있다. 책 고르는 취향이 있어서 빌린 책을 또 빌리는 일이 자주 있다.
영화배우로 알고 있었던 저자가 그동안 책을 여러 권 낸 걸 알았다. 원래 기자였다가 방송과 연극, 영화에 출연했다고 한다. 이후로는 글쓰기에 매진하고 있는데 문학적인 책보다는 그야말로 인디라이터(상업적인 도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문예창작과 강의를 들을 때 이런 글을 쓰는 걸 높이 평가하지 않은 적도 있었는데 지금은 어떤 책이든 써 보고 싶다. 내가 그동안 읽은 책들 중에도 비문학이나 에세이, 자기 계발 도서가 얼마나 많았던가. 어설픈 이야기책보다는 에세이가 훨씬 진솔하고 당기는 힘이 세다.
저자는 취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댄스 책을 쓰면서는 받은 계약금으로 댄스의 고장을 찾아 여행을 하고 돌아오기도 했다. 책의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긴 했지만 다녀오기 전과 후 댄스를 대하는 자세가 달라졌으리라. 어떻게 댄스에 대한 책을 쓸 생각을 했을까? 하긴 교사인 내가 언젠가 태권도 책을 쓸 생각을 갖는 거랑 비슷한 맥락이긴 하다.
저자는 그동안 잘 나가는 책을 쓰기도 하고, 계속 그런 시절이 올 줄 알고 번듯한 작업실을 얻었다가 있던 책들을 남 주고 맨몸으로 나오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 모든 경험이 이 책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으니 완전한 실패는 없다. 책의 뒷부분보다는 앞부분에 가슴 설레는 조언이 많았다. ‘매일 쓰고 많이 읽어야 한다, 블로그에 글을 쓰고, 책과 관련된 다방면의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한다, 기획서는 한 장으로 족하고 제목은 심혈을 기울여 붙인다, 편집자랑 친하게 지낸다, 모델북을 정한 다음 끼고 살아야 한다, 첫 장을 잘 써야 한다’는 등 실질적인 도움의 말들이다. 저자의 모델북 중 하나가 내가 좋아하는 김훈 작가의 <밥벌이의 지겨움>이라는 걸 보고 반가웠다. 그래서인지 저자의 짧고 담백하면서도 유머 있는 문장들이 김훈 작가의 문체와 닮아 보인다.
뒤쪽에 나오는 출판과 직접 관계된 이야기들은 실제로 출판하게 될 때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맨 뒤에는 저자가 추천하는 책들을 담았다. <황홀한 여행>이나 <낭만적 밥벌이>, <나를 부르는 숲>은 꼭 읽어보고 싶다. 추천한 책 중 <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는 내 책장에 꽂혀 있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너무 좋아서 헌책으로 구입했었다. 알라딘에 그렇게 팔아도 글쓰기에 관한 책들은 남긴다. 언젠가부터 글쓰기가 나에게 즐거움이자 절박한 목표가 되었다는 증거인 것이다. 이 책도 살까 고민 중이다. 조만간 내 작은 책장 글쓰기 코너에 이 책이 꽂히게 될 것 같다.
* 목소리 리뷰
https://www.youtube.com/watch?v=JvZwlPd2Zfo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02/pimg_762781103336534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02/pimg_762781103336534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02/pimg_762781103336534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