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쓰지 않을 수 있겠어요 - 이 불안하고 소란한 세상에서
이윤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10월
평점 :
책 쓰기에 관한 책이라면 무엇이든 반갑다. 이 책도 도서관에서 설레는 마음으로 빌려 와 읽었다. 국문학을 전공하고 고등학교에서 국어와 문학을 가르쳤다는 작가의 문장은 참 세련되었다. 읽고 있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문장들이 있는데 이 책이 그랬다. 교사 생활도, 회사 생활도 그만두고 지금은 글을 쓰는 사람이 되었다. 가끔은 과거가 그리울 때도 있을 테지만 넉넉지 않은 주머니에도 지금이 더 행복해 보인다. 하고 싶었던 글을 마음껏 쓸 수 있는 시간은 돈과 맞바꿀 만한 가치가 있으니까. 작가는 낮에 기분 나쁜 일이 있어도 걱정이 없다. 글로 쓸거리가 생긴 것이니. 그 마음을 나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특별한 일이 생겨 가끔은 몸이나 마음이 힘들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글 쓸 거리가 하나 생긴 것 같아 한편 설레는 마음이 들기도 한다.
국어 교사로 아이들에게 문학을 가르치고, 출판사에서 책을 만들면서 그녀는 국어 문장과 뗄 수 없는 관계를 이어왔다. 그것이 지금의 그녀를 있게 했는지도 모른다. 힘든 중에도 글을 쓰는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 아름다운 우리말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하루 종일 접할 수 있다는 것을 그녀는 지금도 다행이었다고 생각한다. 책으로 만들고 싶었던 이의 짧은 생을 안타까워할 정도로 누군가의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내는 것에 애정이 있다. 자신이 쓴 책이 도서관에 오래도록 남겨진 걸 생각하며 한편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기도 했을 것이다.
책의 앞부분은 감성적이고 활달하지 못했던 성격 때문에 우울감을 느꼈던 일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스스로를 바꾸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했고, 그런 분투가 아마도 일찍 조직 생활을 그만두게 되었던 동기였는지도 모른다. 글을 쓰는 사람은 어느 정도는 슬픔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그녀의 논리다. 실제로 아픔을 글로 이겨낸 분들이 많다. 책에는 아들을 잃고 정신없이 써 내려갔던 박완서 님의 일기 ‘한 말씀만 하소서’가 예로 등장한다. 궁금하긴 한데 너무 슬플까 봐 걱정되어 감히 책을 못 펼 것 같다. 중간 이후는 정말 유쾌하다. 읽다가 키득거린 곳도 많다. 박막례 할머니의 팬이라니. 할머니와 손녀가 냈다는 책도 읽어보고 싶다. 10년 지기 주부임에도 고장 난 전기밥솥 앞에서 망연자실하는 그녀는 요리와는 덜 친하다. 인터넷에 검색하여 냄비밥을 오랫동안 지었다는 부분이 너무 재미있었다.
다소 소심하고 내성적인 저자에게 혼자 글 쓰는 밤 시간이 어느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꿀 같은 순간 이리라. 너무나 평범했던 그녀의 어린 시절 아파트 생활기가 이렇게 재미있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뛰어난 기억력은 어린 시절의 장면들을 고스란히 불러낸다. 원래 작가의 자질을 가졌던 사람이었을까? 나의 짧고 단편적인 어린 시절 기억들.
이 책은 제목이 정말 좋다. 불안하고 소란한 세상에서 쓰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작가라는 숙명. 누군가는 그것을 그림으로 풀고, 누군가는 격렬한 운동으로 하겠지만 작가들의 방식은 글로 토해내는 것이리라. 그럼에도 자신의 운명을 행복으로 여기는 저자는 앞으로도 세상을 향해 수많은 배를 띄울 것이다. 말보다 글이 편한 이들의 행복 찾기.
* 목소리 리뷰
https://www.youtube.com/watch?v=e7IfEeO74XQ
https://www.podty.me/episode/16809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