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의 죽음 창비세계문학 7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이강은 옮김 / 창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죽지만 사는 동안 그에 대해 생각해 보는 날이 얼마나 될까? 이 책을 처음 알게 된 건 얼마 전 작가 이반 일리치의 책을 찾을 때였는데 죽음에 관한 이야기여서인지 빌려 두고 읽지 않은 채 반납한 후 팟캐스트에서 이 책 소개하는 걸 듣고 다시 빌려 읽어보았다. 번역하신 분의 말처럼 얇은 책이지만 느리게 읽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스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죽은 이를 애도하는 것보다 남은 사람들이 더 잘 살아갈 방법을 모색하는 적나라한 모습에서 우리들 스스로를 발견할지도 모른다. 죽음을 앞두고 그걸 지켜보며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가족의 모습도, 그럼에도 짜증 부리는 환자에게 마냥 친절할 수 없는 것도, 우리 자신의 미래를 비춰볼 수 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법률학교를 함께 다녔던 가까운 친구도, 남겨진 가족도 자신에 대한 생각만 하는 것을 나무랄 수 없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 '죽은 사람만 불쌍하다' 라는 말이 떠오른다. 어쨌든 아팠던 친구와 동료의 집이 멀다는 핑계로 한 번, 혹은 가 보지 못했던 그들은 자기 나름의 삶을 사느라 바쁘다. 우리의 모습과도 닮아 있다. 그 옛날 톨스토이는 현재 우리에게도 들어맞는 인간의 내면 심리를 기록함으로써 시대를 지나도록 사랑받는 걸작을 남긴 것이다. 


  이반 일리치의 입장도 이해할 수 있다. 갑작스런 승진과 이사로 승승장구하던 그에게  대수롭지 않았던 옆구리 통증이 죽음을 불러올 줄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우리의 마지막도 어떨지 살아보지 않고서는 짐작할 수 없는 것과 닮아 있다. 영원히 살 것처럼 우리는 하루하루를 살아가지만 이반 일리치의 말처럼 죽음에 한 걸음씩 다가가고 있는 것이다. 고통이 심하고, 나아질 기미 없이 죽음이 목전에 있다면 수많은 후회와 회한이 떠오를 것이다. 원망할 동안에는 결코 행복할 수 없었던 그는 최후의 순간에 태도를 바꾼다. 아픈 동안 얼마나 많은 외로움과 서글픔, 그리고 원망이 쌓이고 쌓였을까? 자신은 이렇게나 아픈데 옆에 있는 이들은 건강해 보이고, 행복해 보이는 것만으로도 속이 상했을지 모른다.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마음이다. 내가 그 상황이라면 무조건 다른 이의 말과 태도를 받아들이며 서운해하지 않을 수 있을까? 아마도 그건 결코 말처럼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그 건강해 보이는 주변 인물도 시간이 지나면 누구나 죽는다는 걸 생각하면 죽음은 모두에게 공평한 것이다. 


  매일 한 번은 자신의 최후에 대해 생각해 보라는 말이 떠오른다. 얼마 전 다른 책에서 읽은 시의 일부분이다. 하루 한 번씩은 아니더라도 자신의 마지막은 어떤 모습일지를 생각하며 사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하루하루는 왠지 다를 것 같다. 절절한 고통과 죽음에 직면한 이반 일리치의 생의 마지막을 읽으며 마음은 아팠지만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https://www.podty.me/episode/157107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