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정유정은 상복이 많은 사람이다. [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로 세계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했고, [내 심장을 쏴라]로 세계문학상을 받았다. [7년의 밤]은 어쩌면 그녀의 수상 이력의 효과를 보며 주목 받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내용의 치밀함과 재미가 빠졌다면 시들했을 텐데 그 해에 읽지 못했지만 내게 정유정이라는 작가를 각인시키기에 큰 작품이었다. 그녀의 굵직한 장편들이 마음에 들었다. 무엇보다 단편을 잘 쓰지 않는 그녀의 선 굵고 듬직한 그 책 두께에 더 마음에 들었다고 할까.
500페이지에 달하는 그녀의 작품 [28]은 읽는 동안 지루할 틈이 없다. [7년의 밤] 또한 그랬다. 그녀의 간결한 문체, 사전 자료 조사에 감동하며 읽을 수밖에 없는 작품이었다. [28] 또한 그렇다. 몇 년 동안 치밀한 사전 조사를 이루고, 써내는 작품의 질과 농도에 감탄을 자아낸다.
그녀가 설정한 가상의 도시 “화양”이라는 곳에서 벌어지는 28일 동안의 얘기는 생동감 있다. 그녀의 작품 [내 심장을 쏴라]와 [7년의 밤]이 영화화 된다고 하던데 [28]일은 어쩌면 영화에 더 잘 맞아 떨어지는 내용일 수 있겠다. 이렇게 조직적이고 치밀한 묘사에 어떻게 영화 생각을 못할까. 28일 동안 인간이 어디까지 추락 할 수 있는지, 얼마나 빨리 사랑에도 빠질 수 있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삶이 얼마나 허무한 것인지 여실하게 보여준다.
가상의 도시 “화양”이라는 곳에서 ‘인수공통전염병’이 창궐하기 시작한다. 처음 비위생적으로 관리된 개번식업자가 자신의 개에게 전염되기 시작하며 이야기가 전개된다. 눈이 충혈 되기 시작하면서 온몸의 구멍이란 구멍에서 피를 쏟는 이 병의 치유 방법은 당연히, 없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인수공통전염병’에 걸리지 않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이들이 당연히 주인공이다. 이 이야기의 시작이자 끝인 서재형은 한때 ‘아이디타로드’에 출전한 최초의 한국인 머셔였다. 일면 썰매개들을 이끌고 생명을 담보로 달리는 죽음의 경주라고 한다. 첫 출전한 서재형은 악천후 속에서 자신의 개들을 모두 늑대에게 잃고 말았다. 충전 자격을 영구 박탈당한 재형은 한국에 돌아와 자신이 잃어버린 그 개들을 찾듯 유기견을 보호하고 치료해주는 유기견 구조센터 “드림랜드”를 운영한다.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것이 개에게서 비롯되었고 그로인한 그의 도시의 이름 같은 불같은 소용돌이에 다시 한 번 갇히게 되었다. 어쩌면 재형이 링고와 스타를 만나지 않았다면, 그는 화양에서 그런 생을 마주보지 않았을 것이다.
재형을 주축으로 그의 기사를 쓰고 결국 그의 옆을 지키게 된 김윤주와 119 구조대원인 기준, 그리고 기준에게 특별한 간호사 수진. 주변 인물들에게 재앙과 슬픔을 모두 가져다 준 동해, 그들을 도와주는 주환등 많은 인물이 주축으로 이뤄진 이 소설은 인물들도 많다. 동해의 아버지, 엄마, 동생을 뺀다면 큰 가계도는 없다. 재형과 수진이 한 축을 이루고 동해와 대립관계에 놓인다. 그리고 그들의 주변인물들은 주인공이 되거나 혹은 사라져 버렸다. 그리고 이들보다 훨씬 중요한 스타와 링고, 썰매개였던 그들의 얘기가 중요하다. 어찌 보면 사람들의 얘기보다 그들의 대화와 내용이 가장 감동적이고 가슴 아팠던 부분이 있다. 그래서 였는지 링고의 마지막 행적을 따라가는 부분이 가장 섬뜩하고 긴장되었다.
작가는 구제역으로 살생처분 되는 살아있는 돼지들의 모습을 보면서 이 소설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구덩이 속으로 살아 있는 돼지들이 쏟아지고 영문도 모르게 끌려와 깊은 구덩이 속으로 던져진 자신이 왜 이곳에 있는지 모르겠다며 살려달라고 울부짖었던 그들의 모습처럼 화양의 도시에 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가득했다. 작가가 그렸던 모습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는 장면들이 너무도 많다.
현실은 이유를 알 수 없는 살인을 저지른 사이코패스들의 기사들을 쏟아낸다. 그런데 내가 생각했던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동해가 어린 시절 당했던 폭력이 그를 이렇게 가혹한 사이코패스를 만들어 냈다고 하기엔, 동해의 캐릭터를 풍부하게 만들어 줄 이유가, 부족하다. 동해는 그냥 나쁜 인물이기만 할까. 동해의 행동에 악행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를 이끌어줄 동아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는데 좀처럼 작가는 냉정하기만 하다. 좀처럼 곁을 내주지 않는다. 그런 부분에서 동해라는 인물을 살리는 부분은 실패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화양은 다섯 개 산과 열두 개 봉우리 안에 들어앉은 분지 도시였다. 재형은 도로 하나로 서울 북쪽과 내통하듯 몸을 맞댄 이 도시의 하늘이 갑갑할 때가 있었다.” P114
정유정이 만들어낸 화양이라는 도시를 설명하는 부분을 보더라도 그녀는 뭔가 허투루 만들어 낸 것이 없다. 분명 이런 도시가 어디쯤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 정도로 자세하고 치밀하게 짜여 놓았다. 유독 그녀의 소설은 긴 문장이 없다. 간결하게 읽히는 것이 이 소설의 특징인데 그래서인지 감정선도 짧게 끊긴다. 지난번 그녀의 소설을 읽고 느낌 감정은 다 어디로 사라져 버린 것일까.
하지만 재형이 윤주에게 자신의 쉬차(썰매개들)을 눈보라 속에 늑대들의 밥이 되어 자신을 더 이상 찾지 않도록 멀리 달아나 줬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하는 부분에서는 가슴이 많이 뜨거워졌다. 살려는 의지를 가지게 했던 그는 윤주에게도 자신의 지난날을 얘기하며 가슴 아파했다. 동해에 대한 적대감이 강해질수록 재형에게는 연민이 주고, 윤주에게는 사랑을 주고 있는 것 같다.
박노해는 말했다. 사람만이 희망이라고. 그 희망인 사람들이 도대체 무슨 짓을 하고 다니는 것일까. 소설을 읽고 사실 작품의 좋고 싫음을 떠나 나는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 희망이라는 우리가 대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