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프로비당스호의 마부 매그레 시리즈 4
조르주 심농 지음, 이상해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비좁은 마구간 안에서, 백발이 될 때까지 살 수는 없는 거다, 이 세계에서 팽 당한들. 『라 프로비당스호의 마부Le Charretier de La Providence』 는, 사랑이란 감옥에 갇혀 사는 이들을 향한, 어떤 틀에서 못 나오는 인간들, 그들에게 보내는 쓸쓸한 응원가 ㅡ 이를테면, 매그레의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파리한 병색에 그늘지고, 가혹하다못해 사람과 기억이란 면도날에 찢김을 당하고야마는, 그런 사람들. 현실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그저 응시하는 것, 그래서 아픈 거다, 여기, 가슴이. 인간이 소나 돼지와 다른 게 뭔가, 그건, 늙어죽는 호사를 누릴 수 있다는 것, 라 프로비당스호의 마부, 장은 그렇게 살았어야 했음이 옳다. 그게 순리, 라면! 

 

…이 아니다, 순리라고는 할 수 없지, 그래가지고야 이야기가 되질 않는다. 그래서 심농의 이야기는 ㅡ 소설가는 선전 속 인간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인간>을 보여 줘야 한다, 우리는 모두 비극의 등장인물이고, 그들 자신의 <끝까지> 가기 때문이다…… 라는 그 자신의 말처럼 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하룻저녁 사이에 비극 한 편을 관람할 수 있다, 바로 상처, 그 상처가 심농의 작품을 관통하는 모티프다. 문제는 이 상처의 봉합인데, 차라리 상처인 채로 있었다면, 처음부터 그게 상처인 줄 몰랐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들이 한데 뭉쳐, 자꾸만 인간으로 하여금 상처더미 속으로 몰아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타이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문타이거
페넬로피 라이블리 지음, 김선형 옮김 / 솔출판사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부커상 수상작…… 인지는 잘 모르겠고, 그런 것은 중요치 않다. 문학상 수상작이라고 해서 좋고, 아니라고 해서 그렇지 않다거나 하는 건 아니니까. 일단 읽는 데 상당히 불편했다. 한 마디로 지루한 사설이라고밖에는 말 할 수 없다, 나는. 개인적인 취향의 차이는 분명 있을 것이다. 물론 작가가 말하는 '세계의 역사'가 '나 개인의 역사'가 될 수도 있음은 인정한다. 그러나 『문타이거』는 철저하게 클라우디아 햄프턴에 대한 개인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세계의 역사'로 귀결되는지, 나는 당최 이해를 할 수 없었다, 는 것이 내 감상이다. 서로의 기억이 지니는 다채로운 충돌에 관해 '첫사랑'이라는 보편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그려냈다고도 하는데, 그것은 '세계의 역사'나 '나 개인의 역사'를 빙자한 카피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뱅뱅 도는 모기향의 중심, 언젠가 하얗게만 남아버리는 그 중심처럼, 『문타이거』도 그저 다 타버린 소설이라는 생각이다. 그도 그럴 것이, 개인의 일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느낌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렇게 글을 쓰는 것 자체도 불편하긴 하지만, 시각의 차이, 취향의 차이, 수용자의 인식의 차이라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다는 것을 사족으로 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상한 라트비아인 매그레 시리즈 1
조르주 심농 지음, 성귀수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흔히, 장정裝幀만 보고도 질려버리는 케이스가 있다. 이를테면 토마스 만이랄지, 움베르토 에코의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중세 이야기들 말이다. 분량이 많아서가 아니라, 그 딱딱한, 살인도구도 될 수 있으며 목침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법한, 뭔가를 내려치기에 꼭 맞다싶은 표지. 물론 내용조차도 심연에 빠지기 딱 좋은 경우가 많다. 이 조르주 심농Georges Simenon의 『수상한 라트비아인Pietr-le-Letton』, 가볍다, 일단 겉모양이. 헬레네 헤게만이 쓴(정말 직접 쓴 것일까?) 『아홀로틀 로드킬』과는 겉이 닮아있고, 윌리엄 아이리시의 『환상의 여인』와는 속이 닮았다(그저 그렇게 느껴졌다, <증발>이라는 측면에서 그렇다). 아! 비교하기엔 레이먼드 챈들러가 낫겠다, 물론 그것보다 조금 덜 묘사에 신경 쓴 것만 빼면 ㅡ 물론 확실히 다르다. 굳이 묘사라 하면 대략 이런 식이다. 라트비아인으로 나오는 피에트르pietr의 이름을 피트르pitre, 어릿광대와 매치시키는가하면, 굳이 콧날의 모양, 코끝 거리, 귓불의 모양 등 인상착의를 묘사하거나, 소설의 마지막을 장식할 때는 자연스레 주인공에게 차를 끓여 내오는 부인의 고즈넉한 자태의 기술 등을 말할 수 있을 거다. 그리고(그래서), 표지에 그려진 병 속에는 열쇠가 덩그러니 딸랑댄다. 주인공 매그레가 마셔대는 맥주인지 뭔지 모를 것에,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열쇠. 복잡한 트릭이나,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해 만든 말도 안 되는 범행도구 따위는 일절 등장하지 않은 채, 오로지 사람의 의중을 파고들어 굳게 잠긴 자물쇠를 헤집어놓는 열쇠. 인간적이고, 인간적이다. 변장한 라트비아인과 마주앉아 기가 차게도 「선생, 콧수염이 떨어졌소이다…….」라고, 누가 감히 말할 수 있겠나.


나는 지금 이 <매그레 시리즈>의 단 한 편만 훑어본 상태인데(현재까지 총 네 권이 나와 있다), 앞으로 총 75권이 출간되고, 그걸 하나씩 읽어가다 보면, 헤밍웨이가 심농의 작품을 두고 한 말이 증명될지도 모르겠다. (그는 아프리카의 우림을 언급했지만)비 때문에 ㅡ 마침 두어 달 후면 장마철이다 ㅡ 꼼짝 못하게 되었다면 심농을 읽는 것보다 더 좋은 대처법은 없으리라는 얘기. 누가 당장이라도 자기는 최악의 상황에 빠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이 비극이 될 가능성은 제로라고 못박을 수 있나. 요컨대, 소설은 인간이고, 인간이 소설이다. 우리는 때때로 거기에서 카스트 같은 것을 느끼기도 하지만 말이다(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나는 <서민>임에 분명하다). 이 힘없는 인간들이 만든 드라마가 예술 아닌 예술로, 그것도 추리라는 형태를 빌려 탄생한다. 취조실 혹은 안락한 소파에 앉아있는 피의자의 고독, 그리고 지금이라도 그 큰 매그레의 덩치가 이쪽으로 옴작거리는 것을 볼 수 있을 것만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레 씨, 홀로 죽다 매그레 시리즈 2
조르주 심농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그래 컬렉션> 그 두 번째 작품, 『갈레 씨, 홀로 죽다Monsieur Gallet, décédé』. 제1권인 『수상한 라트비아인』과 비교한다면 일단 트릭이라고 할 만한 것이 등장한다. 뭐 그렇게 기발하다거나, 기존 추리소설에서 봐왔던 것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읽어보면 금세 알겠지만, 중요한 것은 정작 트릭이 아니라 무척이나 빠른 전개와 군더더기 없는 간결함으로 무장한 서사일 거다 ㅡ 이런 식으로 글을 쓴다면 분명 바지 앞단에 수북이 쌓이는 담뱃재의 처치 곤란함이 문제다. 게다가 에밀 갈레의 살인사건 수사를 위해 상세르를 방문한 매그레는, 갈레의 죽음과 실제 삶에 얽힌 두 가지 수수께끼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했고. 가진 거라곤 달랑 이름 하나에, ㅡ 사실 이게 중요하다! ㅡ 가족에게 멸시받으면서도 30만 프랑을 남겼고, 어디에서도 안식할 수 없었으며, 축구를 좋아했으나, 결국 피 칠갑이 되어 홀로 죽은 갈레 씨! 그가 오른뺨에 붉게 물든 피를 닦지도 않은 채 기다려야했던 총성. 사람들이 소설을 읽는다는 건 이웃이 무얼 하는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즉 자신과 똑같은 열등감, 악덕, 유혹을 느끼는지 알기 위해 열쇠 구멍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는 심농의 말은, 갈레 씨를 홀로 죽게 했을지는 몰라도, 편히 죽게 하지는 못한 이유일 것이다. 너무나도 평화스럽고 안온한 것은, 어쩌면 우리와 너무 동떨어져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게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폴리앵에 지다 매그레 시리즈 3
조르주 심농 지음, 최애리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폴리앵에 지다Le Pendu de Saint-Pholien』. 200페이지 남짓한, 그래서 순식간인,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 끝나고 마는, <매그레 컬렉션>의 세 번째 작품. 그러나 도입부에서, 앞선 작품들과는 조금 다르다는 것만은 알아챌 수 있다. 순전히 우연에서 발단한 ㅡ 물론 그 우연이 수상함이라는 것과 매듭지어져 있으니, 어쩌면 당연하다. 그 우연이라는 게, 곳곳에서 드러나기도 하고, 때로는 우스꽝스럽게 표출되기도 하지만, 그 우연이, 내 이웃, 혹은 내 속에서 이상한 기운이 꿈틀댈 때 솟는, 그런 감정이기 때문에 더 이상 우연이 아니게 된다. 결코 쓸 일이 없을 것 같던 칼날은 비틀비틀, 절대 아물 수 없는 상처는 가닐가닐. 그래서, 누군가는 죽고, 죽인 자는 발 뻗고 잠을 못 잔다. 순전히 무겁게 짓누르는 분위기와, 시종일관 쫓고 쫓기는 사람들로 인해, 생폴리앵에서 지고 만 자의 정체가 드러난다. 무의식적으로 물에 떠밀고, 무의식적으로 사람에게 달려들고, 그렇게 과거가 펼쳐진다. 이 소설이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 일이었다.>로 시작하듯,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게 악행을 저지른다, 자신도 모르게. 소크라테스가 말했다. 우리가 어떤 일이 악행인 줄 알면서 자발적으로 그 일을 저지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만일 악행을 저지른다면 그것은 무지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그런데 그 무지라는 것이…… 이런 식으로도 용납될 수 있을까?

 

 


사람 죽일 때요… 제정신이 아니겠죠.
그러니까… 죽이겠죠?
죽이는 순간에도 돌이킬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그 짧은 순간에 제정신을 차릴 순 없겠죠……?
그러면 정말 그건 순간의 죄일 테죠?

ㅡ 장진, 『장진 희곡집』, 열음사, 2008
 

 



「열린책들에서는 한 작가나 사상가의 저작을 출간하기로 결정하면 그 사람의 모든 것을 보여 주는 기획, 설혹 그것이 그 작가의 졸작이나 숨기고 싶은 작품일지라도 모두 다 보여 주는 기획을 한다.」 홍지웅 사장이 쓴 일기의 한 구절이다(『통의동에서 책을 짓다』, 열린책들, 2009). 물론, 조르주 심농도 이렇게 선언한 바 있다. 「나는 내 작품의 대부분, 예를 들어 매그레 컬렉션 전체를 출간한다는 조건으로만 번역권을 준다.」(『Buzzbook vol.2 조르주 심농』, 열린책들, 2011) ……그래도 그렇지 75권이다. 하지만 작품이 거듭될수록, 금단이랄까, 중독이랄까, 뭐 이런 느낌이 스멀스멀 기어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