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에서 영원으로 - 상 - Mr. Know 세계문학 57 Mr. Know 세계문학 57
제임스 존스 지음, 이종인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재입대 블루스」 

월요일에 제대비를 받았지, 난 이제 더 이상 땅개가 아니야.
군에서 너무 많이 돈을 주어 내 호주머니가 빵빵했지.
쓸 돈이 아주 풍부했지, 재입대 블루스.

화요일에 쇠푼을 들고 시내로 나갔어, 더블베드가 놓인 방을 하나 잡았지.
내일은 직장을 잡아야지, 하지만 오늘 밤 너는 죽어 버릴지도 모르잖아.
낭비할 시간이 없어, 재입대 블루스.

수요일에는 바를 순례했지, 내 친구들은 나를 왕좌에 올려놓았지.
중국계 혼혈 여자 애를 하나 만났어, 나를 가만히 놔두지 않겠다고 하더군.
내가 그년을 때렸나? 재입대 블루스!

목요일에 잠을 깨보니 머리가 깨지는 것처럼 아프더군.
내 바지의 호주머니를 뒤져 보니, 돈이 모두 사라져 버리고 없더군.
그년이 내 머리를 홱 돌게 했어, 재입대 블루스.

금요일에 바를 다시 찾아가서 공짜 맥주를 한 잔 청했어.
내 친구들은 모두 사라졌어, 술집 점원이 말하더군, 꺼져, 이 병신!
내가 그다음에 어떻게 나왔겠나, 재입대 블루스.

토요일엔 차가운 영창에 갔지, 벤치 위에 서서 창살 밖을 내다보았어.
사람들이 많이 지나가더군, 그들은 모두 행복하게 외출 중이었어.
이젠 내가 선택을 해야 할 시간이었어, 재입대 블루스.

일요일엔 공원에서 잠을 잤지, 사람들이 모두 교회에 가더군.
배는 텅 비어서 고프고, 난 아주 더러운 상황에 놓였지.
땅개는 교회의신자석도 없어, 재입대 블루스.

그래서 월요일엔 재입대를 한 거야, 약간 슬프고 속이 울렁거리더군.
나의 멋진 계획과 풍부한 돈은 계집의 사타구니 속으로 사라져 버렸지.
사내들은 언제나 지는 것 같아, 재입대 블루스.

그러니 내 한마디 하겠네, 단기 근무자들아, 이 똥통에 아예 들어오지 말라고.
아예 죽어서 이 세상 사람이 아니거나 30년쟁이거나 둘 중 하나야.
재입대 심사위원들은 나를 우울하게 해, 재입대 블루스.
 

 

 

……노랫말대로 되었다, 켄터키 주 할란 출신의 로버트 E. 리 프리윗의 재입대를 담당한 심사위원들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그는 평생 30년쟁이(thirty-year man: 장기 복무를 하게 될 사병을 이르는 속어)로는 살 수 없게 되었다, 빌어먹을 인생의 똥통 리스트에 올라 톰슨 기관총의 윙크를 받았으므로. 그가 죽은 것은 자명한 일이지만 그 없는 스코필드 부대는 그래도 돌아갔고 앞으로도 잘 돌아갈 것이다. 그자들 ㅡ 세상이란 시스템(아마도 다자이 오사무는 세상을 인간의 복수형이라 했을 것이다) ㅡ 은 당신이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당신의 불알을 잡고 늘어지므로. 

즉 자신의 의지가 기관 단총의 약실 안으로 물러 들어가는 찰나 이미 군번 6915544의 인생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세상에 직면하게 되고, ‘이성은 인간이 발견해 낸 가장 훌륭한 도구’라는 샘 슬레이터 준장의 강도 높은 논리와 드잡이를 하고야마는 거다. 쇠고기를 먹는 중산층의 자기 확신, 아메리카의 얼굴들, 불변의 몰개성적 중심, 지상에서 영원까지 고정된 마초이즘 그리고 진주만을 기억하라……. 군대는 인생의 축소판이라는 진부한 대사를 읊지 않더라도 역시 세상은 군대와 마찬가지로 조직의 시스템과 카스트적 계급의 지배를 받고 있는 까닭에,『지상에서 영원으로』는 소년의 제국주의, 간부의 사병의 제국주의를 거쳐 남자와 여자의 제국주의, 인종의 제국주의, 체제의 제국주의로 뻗어간다. 

 

나한테 세상이 왜 그렇게 되어 먹었느냐고 묻지 마. 내가 아는 건 세상이 그렇게 생겼다는 거야. 어떤 사람이 어떤 것을 차지하려면 혹은 획득하려면 그 방법을 잘 알아야 해. 다른 사람들이 그 권리를 어떻게 챙기고 유지하는지 잘 보아 두었다가 그대로 따라 해야 돼. 사람들이 이렇게 하는 데 가장 잘 써먹는 방식이 바로 정치야. 그들은 영향력 있는 사람을 친구로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 영향력을 이용하는 거야.

ㅡ 본문 p.289
 

 

프리윗은 상명하복에 도전하고, 워든은 상사의 아내와 동침한다(국내 군부대에서 이 책이 불온 서적이 됐던 전력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이로써 세력과 세력이 맞붙고 시스템과 시스템이 맞닥뜨리게 된다. 그러나 그 말로는 어떻게 되었나. 블룸은 소총 방아쇠울에 엄지발가락을 넣어 자신의 입을 통해 총성을 들었고, 프리윗은 만료된 SP 카드를 손에 쥔 채 죽어갔다 ㅡ 물론 둘 다 우스꽝스러운 ‘엉덩이를 어깨에(hips on shoulders)’ 자세로 죽은 건 아니었으니 그나마 다행이라 해도 좋을 일이다. 

군인이란 족속은 변화의 안개가 스멀스멀 기어 나와 자신의 눈앞에 그리고 피부에 와 닿기 전에는 모른다고 했다. 희한한 것은 이것이 비단 군인만을 위한 찬사는 아니라는 점으로, 체제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모든 인간들에게도 적용된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런 찬사를 받아 마땅하다. 프리윗이 「재입대 블루스」의 노랫말만 남긴 채 사라졌듯 우리 역시 우리만의 노래를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지상에서 영원으로』는 여름 카키복을 단정하게 차려입은 잘생기고 날렵한 젊은이의 묘사로 시작해 전쟁이 오래 가지 않아 끝나버려 자신이 참전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토로하는 아홉 살 아이의 안타까운 목소리로 끝난다. 

이것은 하나의 이야기이지만 보편적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나는 세상을 보고 세상은 나를 본다는 논리로 귀결된다. 이는 내가 저 사물을 바라본다는 현실보다 저것들이 내 눈을 겨냥하고 있다는 현실이 더욱 더 현실적으로 느껴진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현실은 김수영의 시 「孔子의 생활난」의 ‘동무여 이제 나는 바로 보마 / 사물과 사물의 생리와 / 사물의 수량과 한도와 / 사물의 우매와 사물의 명석성을’이란 시구가 말해준다. 그런데 이 시의 결말은, ‘그리고 나는 죽을 것이다’로 끝을 맺는다. 그리고 제임스 존스의 프리윗 역시 ‘죽는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모든 존엄성을 상실한다. 

인간은 죽는다. 그러면(그래도) 세상은 먹고, 배설하고, 섹스하고, 종족을 만들고, 시스템을 창조한다. 따라서 『지상에서 영원으로(From Here To Eternity)』가 피력하듯 ㅡ Here에서 Eternity까지 복종, 착취, 도전, 갈등은 서로 호응하기도 하고 곁눈질하기도 하면서 반복되고 또 반복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이 안 통하는 사람과 일하는 법 - 함께 일하기 힘든 사람을 내편으로 만드는 인간관계 기술
로버트 M. 브램슨 지음, 조성숙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오스트레일리아에는 높이 348미터, 둘레 9.4킬로미터의 위용을 자랑하는 세계 최대의 바위가 있다. 바로 에어즈 락(ayers rock)이라고 하는 건데, 사람에게도 그런 부류가 있는 모양이다 ㅡ 에어즈 락이 거대한 장관을 뽐낸다면, 그런 사람은 거대한 산처럼 당최 하는 말이 먹혀 들질 않는. 글쎄, 이 책은 <왜 어떤 사람은 1분도 상대하기 힘든 걸까?>란 카피를 내세움과 동시에 <함께 일하기 힘든 사람을 내편으로 만드는 인간관계 기술>이란 부제가 붙어있다. 여기서 쉽게 알 수 있듯, 비단 회사에서의 인간관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일이 싫은 게 아니라 사람이 싫다면 그 회사에는 정을 붙이기가 쉽지 않다. 내 자신이 변하는 것보다 타인을 변화시키는 것은 정말이지 에어즈 락을 옮기는 것처럼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책은 나와 일하는 <사무실의 적>을 변화시키는 법이 아닌, 그들을 내편으로 만드는 법을 기술한다. 얼마 전 『협상과 흥정의 기술(Never Lose Again)』이란 책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 그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단지 이번에는 그 무대가 협상 테이블에서 사무실로 옮겨온 것. 특히 나는 개인적으로 잘난척하는 사람들에게 쫑코(정말 어쩔 수 없이! 속어를 한 번만 쓰겠다)를 한 방 먹이고 싶은 감정을 주체할 수가 없다. 책에서는 그런 사람들을 <풍선>이라 부르면서 그들에게는 다른 사람들이 없는 자리에서 체면을 살려주는 동시에 은근히 할 말을 하라고 한다. 사실 나는 제3자 앞에서 지독한 망신을 주고 싶은데 말이다 ㅡ 심지어 이 파트의 말미에는 <그들에게 고통을 가하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다는 것을 이해한다>고까지 적혀 있다! 이런 풍선형을 비롯해 꾸물꾸물형, 독불장군형, 묵묵부답형, 호언장답형, 비관형, 투덜이형, 폭발형……을 총망라해 정리해 놓은 것이 아닌가. 물론 이 책을 읽은 다른 사람이 나에게 같은 방법을 쓴다면 나로서는 어쩔 수 없는 노릇이긴 하지만 말이다……. 그래서 나는 나름대로 이 책에게 다른 제목을 붙어주었다. 바로 <에어즈 락 옮기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 펭귄클래식 48
조지 오웰 지음, 이기한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 이렇게 된 원인이야 어쨌든 좋다, 그것보다는 빅 브라더가 행하는 일련의 권력유지 방편들이 ㅡ 우라사와 나오키 作『20세기 소년(20世紀少年)』의 우민당(友民黨)과 매한가지가 아닐까 ㅡ 더 중요한 명제로서 작용하니까. 그 중『1984』가 엄청난 정치적 파급력을 지니고 있다면 그건 분명 ‘언어통제’일 것이다. 언어가 통제됨으로써 의식의 전환 또한 막혀버리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방통행이며 강압적이다. 오웰의 작품이 쥐고 있는 또 하나의 헤게모니는 이 보편성에 기인한다. 자먀찐의『우리들(We)』ㅡ 오웰의 ‘빅 브라더’가 있다면 자먀찐에게는 ‘은혜로운 분’이 있다 ㅡ 이나 헉슬리의『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그리고 오웰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말소하는 구조 역시 마찬가지다. 물론 자먀찐의 작품이 비판하고 있는 것은 특정 권력 구조라기보다는 인간이 인간을 압살하는 전반적인 제도 그 자체로 봐야 한다. 그에 비해『1984』는 꽤 구체적이다. 텔레스크린, 사상경찰, 마이크로폰, 헬리콥터를 등장시킴으로써 통제의 공포 자체를 공포화한다. 그리고 자먀찐의 소설에서의 D-503은 오웰의 작품으로 넘어오면서 비로소 ‘사람의 이름(윈스턴)’을 갖게 된다……. 우리는 언제든지 또 하나의 윈스턴이 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언제 윈스턴으로 변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보위(David Bowie)가 1974년 발매한《Diamond Dogs》는 오웰의『1984』를 모티브로 만든 앨범인데, 수록곡「1984」의 ‘they'll break your pretty cranium and fill it full of air’란 가사가 내일 당장 현실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오웰의 소설이 이성과 본능을 허물어버리는 점이란 측면에서 이것은 상당한 우려를 내포하고 있다. 자유의 범위는 신축력이 없고 압제의 강도는 역치를 웃돈다. 개인은 영민하지만 집단은 우매하다고 했다. 내가 내 삶을 살 수 없으므로 그것 또한 타당한 말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개인은 무력해지고 질식된다. 인간의 말살과 순응은 이러한 통찰력으로 인해 음울하게 시작해서 음울하게 끝나고 만다. 

 

끝으로, 보위의「1984」는 이렇게 시작한다. ‘someday they won't let you, but now you must agre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위의 딸 펭귄클래식 29
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지음, 심지은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웅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브게니 오네긴』의 오네긴이 ‘쓸모없는 사람’의 원형이라면 『대위의 딸』은 그리뇨프의 성장소설이라 봐도 무방할 듯하다. 역사와 판타지(작가의 이상향이라는 점에서)를 버무려 건실하게, 그리고 끝까지 촘촘하고 확고한 의지를 잃지 않기 때문이다 ― 그럼에도 독자의 뒷덜미를 잡는 반전의 통쾌함이 없다는 것에는 첨예한 의견의 차이를 보이겠지만. 끈질기게 삶을 붙잡고 늘어지는 유의 소설은 아닐지라도 그에 못지않게 질긴 사랑 이야기를 보인다는 점에서도 또한 그럴 수 있겠다. 『대위의 딸』은 크게 그리뇨프와 푸가쵸프, 그리뇨프와 마샤, 이 두 가지의 큰 줄기를 지니고 있는데 한편으론 진부한 전형성의 외투를 입었다는 것에 평범성을 느낄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서 하인으로 등장하는 사벨리치의 인물성이 오히려 생동감 있게 다가오기도 한다. 

 

(독자들에게) 제아무리 근거 없는 믿음을 경멸한다 하더라도 인간은 원래 미신에 빠지기 쉬운 존재라는 걸 경험상 다들 잘 알고 계시리라. 

ㅡ 본문 p.26 

 

이로써 이 『대위의 딸』이 다분히(상당히) 유토피아적 결말을 맺게 되는 것도 다소 이해가 간다. 또한 사벨리치의 언행에 맞먹을 정도로 이 작품에 하나의 키포인트를 던져준 것은 바로 ‘토끼가죽 외투’인데, 이것은 훗날 그리뇨프로부터 푸가쵸프에게로, 다시 푸가쵸프로부터 그리뇨프에게로 부메랑처럼 돌아오는 생명수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1)사벨리치가 작품의 한 변(邊)을 차지하고 있다면 2)토끼가죽 외투는 그 중 하나의 꼭짓점이라 봐도 무방하다. 그래서 나는 『대위의 딸』의 진정한 주인공은 그리뇨프보다는 푸가쵸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삼국지』의 주인공이 유비와 조조 중 누구인가 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물론 『대위의 딸』의 주인공은 누가 봐도 그리뇨프로 보인다. 작품의 처음과 끝을 관통하며 이야기를 매듭짓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내러티브를 이끌어나가는 힘은 푸가쵸프에게서 나온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신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맹신자들 - 대중운동의 본질에 관한 125가지 단상
에릭 호퍼 지음, 이민아 옮김 / 궁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능력한 성실함으로 중무장한 맹신자들. 굳이 러셀의 그것들과 비교하지 않더라도 호퍼의 아포리즘은 궁극의 그것이며 그의 출신과 뗄 수 없어서 더욱 밀도 높게 다가온다. 호퍼가 이 책에서 종교운동, 사회혁명운동, 민족 운동 등 여러 대중운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것들을 심도 있게 '까발리는' 것이며 또 그렇게 귀결되고 있다. 그래서 호퍼는 죽었지만 그의 아포리즘은 죽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맹신자들' 역시 아직 존재하며 유효하다.

「우리의 열의가 증오심, 잔혹성, 야망, 탐욕, 비방하기 좋아하는 성향, 저항하는 성향을 촉진할 때 기적을 만들어낸다.」 ㅡ p.183 

『맹신자들』에 등장하는 여러 대중운동의 특성은 바로 '맹신'과 '광신'이란 단어와 조우하게 된다. 이따금씩 'ㅡ신자' 혹은 'ㅡ주의자'로 대변되는 그(우리)들 말이다. 최근 ㅡ 이랄 것도 없지만 ㅡ 행해진 선거 등에서 나타나듯 내가 한 표를 행사하면(이 대중운동에 참여하면) 내가 원하고 바랐던 삶이 일순 변할 것만 같은 전망(그들만의 희망)에 유혹되고 또 선동된다. 실제로 책에서는 '좌절한' 사람들을 언급하고 있는데 나는 이 단어를 듣자마자 곧 영화 《밀양》을 떠올렸다. 자식을 잃은 부모가 마주하게 되는 것은 바로 종교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ㅡ 맹신자는 명분이 아니라 자신의 (무능력한) 열정과 맺어져 있다. 

「맹신자들의 눈에 숭고한 대의를 추구하지 않는 사람은 줏대도 성질도 없는 사람, 말하자면 신념가의 봉이다. 반면에 서로 다른 경향의 맹신자들은 서로를 도덕적으로 경멸하며 언제든 상대의 급소를 공격할 태세이긴 하지만 상대의 강점을 인정하며 존중한다.」 ㅡ p.234 

분명 호퍼는 그들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고 비난을 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① 대중운동의 토대를 닦는 것은 지식인, ② 대중운동을 실현하는 것은 광신자, ③ 대중운동을 굳건히 다지는 것은 실천적인 행동가여야 한다고 말이다. 그리고 이를테면 광신자 없이는 투쟁적 지식인들이 만들어놓은 불만이 방향을 잃고 무의미하게 발산되어 무질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고 쉽게 제압되고 말며, 그들 없이는 이미 시작된 개혁이 아주 극적으로 전개된다 해도 기존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체제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보통 한 무리의 행동가에서 다른 무리로 권력이 이양되는 것 이상은 되지 못할 거라고 덧붙인다. 광신자 없이는 어쩌면 새로운 시작이 없을 수도 있다면서 말이다(p.208). 그러나 궁극적으로 『맹신자들』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는 것은, 이미 정해진 행동 강령을 맹종하는 게 아니라 자기의 판단과 경험을 가지고 자신의 삶을 기획하는 인간의 눈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