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조건이란 무엇일까?

노동, 복지, 환경? 도대체 인간의 조건이 무엇일까? 이책을 보는내내 한가지 생각을 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 "흑야"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가졌다. 물론 비슷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똑같이 유태인으로서 2차대전을 아우슈비츠에서 살아야했으니 말이다. 모두 다 2차대전을 지나면서 유태인으로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이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 고민을 해본다.

어떤 사람들은 인간의 조건을 자기 인생의 비전의 실현으로 본다. 어떤 사람들은 사회가운데에서, 어떤 사람들은 노동으로, 어떤 사람들은 여러가지 조건들로 인간을 규정한다. 그러나 2차대전을 겪었던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물론 이 책의 저자인 프레모 레비를 비롯해서 인간의 조건을 생존으로 본다. 일단 살아남는 것, 이것이 인간의 조건이다. 어찌보면 동물과 하등의 차이가 없다 생각을 하겠지만 일단 살아남는 것이 인간의 최소한의 조건이다. 이것이 무너지는 순간 그는 인간이 아닌 것이다. 그저 쓰레기요, 연료로 취급될 뿐이다. 레비는 이것을 아우슈비츠에서 발견한 것이다. 온갖 비리와 부정을 저질러도 살아남는 것 이것이 인간의 최소한의 조건이요 최후의 마지노선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오늘날의 가치관과 잣대로 이 사람들을 판단하지만 이는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우리가 그 상황이었다면 분명 우리도 너무나 쉽게 그 길을 택했을 것이니.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이 레비의 사상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이다. 이 상황을 알리기 위해 살아남는다, 증언을 위해 살아남는다는 것은 생존을 위한 비열한 행위를 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자기 기만이요 포장일 뿐이다. 그저 살아남기 위해서 노력한 것이 레비의 진심일 것이다. 이는 레비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 땅에서 오랜 세월을 살아온 민초들의 이야기이다.(이 책을 읽으며 이 땅의 민초들이 생각나는 것은 나뿐일까?) 나를 포함한 민초들의 이야기이다.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그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힘이 약하기 때문에 해양 세력에 치이고 대륙에 치이는 삶을 살았다. 위에 계신 분들은 자신들의 평안한 삶이 무너지고 이데올로기가 무너지면서, 왕권이 흔들리면서 힘들다 두렵다 하지만 민초들은 생존자체가 불확실했던 역사가 우리나라의 역사이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900여회의 외침을 받았다. 그러면서도 한번도 다른 나라를 침략하지 않은 우리의 바보스러움을 평화로움으로 포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역사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일본의 무시무시한 군사력을 자위대라는 말로 포장하고 있는것과 다를 바가 무엇인가?

친미니 반미니 외치는 모습을 보면서 대추리가 떠오른다. 강자들은 이데올로기 싸움을 하지만 약자는 이데올로기의 모든 리스크를 혼자 떠안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인하여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하여 투쟁한다. 오직 살아남기 위하여 투쟁하는 것이다.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본인도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약자는 아닌가 보다. 생존을 위한 투쟁을 넘어서 다른 것을 바라보고 있으니...

인간의 조건은 민초의 역사이다. 레비는 우리 형제들이고 자매들이다. 오늘도 신음하고 있는 사람들이며, 민중들이다. 오직 인간의 조건인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태안의 어민들이며 대추리의 사람들이다. 광주이며 이들을 집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전경이요 군인이다. 이들이 민조요, 이것이 인간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07-12-21 1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의 사진은 다음 이미지 검색으로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