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릿터 Littor 2017.8.9 - 7호 ㅣ 릿터 Littor
릿터 편집부 지음 / 민음사 / 2017년 8월
평점 :
품절
어제 민음사로부터 문자를 받았다. 새로나온 <릿터 8>을 내일(그러니까 오늘) 발송한다고. 순간, 아!했다. 리뷰 쓰는 것을 잊어 먹은 게 생각난 것이다.
그런데 하도 띄엄 띄엄 읽으니 이제와 리뷰를 쓰려니 내용이 하나도 생각이 나질 않는다. 내 나이 땐 뒤돌아서면 잊어 먹는다. 그래도 전화기 냉장고에 안 집어넣는 게 어디냐?
자, 생각을 차근차근 되짚어 보면, 마가릿 애트우드를 특집으로 다룬 게 제일 먼저 생각이 난다. <시녀 이야기>로 유명한. 마거릿 애트우드의 책은 우리나라에 수 권 번역되어 나와있다. 여기전 그동안 애트우드의 책을 번역했거나 편집한 사람들이 애트우드에 관해 얘기한 거랑 그녀의 인터뷰가 실려 그녀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얼마 전, 모처에서 올해의 노벨문학상을 맞히는 퀴즈가 있었는데 거론된 작가 중 아무래도 가장 최근에 안 작가니 이 사람을 선택했는데 알다시피 나는 미끄덩이었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던 건 새롭게 연재에 들어간 <<문학사 굿즈샵>>이다. 그러니까 8,90년대 유명작가들이 글을 쓰면서 애용한 물품들을 소개한 글인데, 첫번째로 <워드프로세서 '르모'의 추억>이다. 좀 놀라웠던 건, 아직도 육필을 고수하는 일군의 작가들이 있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바인데(그중 잘 알려진 게 김훈 작가일 것이다), 반대로 육필을 고집할 것 같은 작가가 워드프로세서라는 당대 첨단의 도구를 선호했다는 것. 대표적인게 고 박완서 작가라는 사실. 그는 더 이상 파지를 내지않아 좋다며 애용의 변을 남겼다고.
워드프로세서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건 80년 대 말, 90년 대초 무렵이었을 것이다. 그전까지 작가가 글을 쓰려면 그렇게 육필로 쓰거나 전동 타자기를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타자기도 있는 사람이나 쓸 수 있는 거지 작가라고 아무나 쓸 수 있는 것도 아니었으리라.
작가가 꿈이었던 나도 워드프로세서가 무척 갖고 싶었다. 그런데 내가 한창 갖고 싶었던 시절은 개인용 PC가 막 보급되기 시작한 때라 내가 워드프로세서를 갖고 싶다고 하면 하나 같이 그럴 바엔 돈 조금 더 보태서 PC를 사라고 권유 받았던 시절이기도 했다. 내 주제에 무슨 PC는...기계치에게 PC는 언감생심이었다. 그러다 90년대 중반, 컴퓨터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비교적 얼리어답터에 속하는 동생으로부터 PC를 물려 받았다. 유난히 모니터가 누런 게 담배에 찌든 느낌이 나는 286 컴퓨터였다. 마침 그때는 내가 연극 대본을 막 쓰기 시작한 때여서 누렇거나 파랗거나 따질 게제가 아니었다. 그냥 뽀대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동생은 쓰던 컴퓨터를 주게되서 미안했던지 프린터기를 사 주기도 했다. 지금 노트북이나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정말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같은 얘기다.
문득 이 코너를 읽고 있는데, 나에게 있어 굿즈는 뭘까를 생각해 봤다. 그건 역시 노트북은 아닐까 한다. 나는 이제 거의 육필로 글을 쓰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기만큼은 육필로 써 볼까 했는데, 습관이 무섭다고 도저히 기분도 안 나고 힘들어 못 쓰고 있다. 그리고 또 하나, 블로그다.
언젠가 내 책 후기에도 그런 얘기를 썼지만 블로그는 나의 굿즈이면서 동시에 나의 글쓰기를 대변한다. 얼떨결에 독서 에세이를 냈지만 그 보단 내 블로그질이 훨씬 더 할 얘기가 많을 것이다. 아무튼 '문학사 굿즈샵'은 상당히 흥미로운 코너임엔 틀림없다. 두 번째 편은 어떨지 기다려진다.
그밖에 단편 소설로는 장강명의 소설이 눈에 띈다. 장강명을 좋아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나로선 아직 판단이 서질 않지만, 그의 단편 '괜찮아요' 는 나름 괜찮은 소설이었다고 생각한다. 아나운서에 도전하는 미생들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인데 잔잔하게 잘 읽혔다. 시작 전 작가의 사진이 실려있는데 선하고, 장난기 가득한 안경 낀 얼굴이 왠지 미워할 수 없는 상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번에 새로 안 사실이었는데, 창원 MBC가 살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니까 작가가 능청스럽게 찔러넣은 것이다. 근데 이 작가 그렇게 열심히 글을 쓴다며? 열심히 글 쓰는 작가를 싫어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소설가 최진영의 인터뷰도 인상적이었다. 그녀의 글 쓰는 태도가 나와 비슷한 것 같은데, 나 역시도 글을 쓰면서 고쳐 쓰기를 같이한다. 그녀와 내가 다른 건, 그녀는 그렇게 써서 어쨌든 책을 내지만 나는 쓰다가 엎는다는 것. 아, 소설 쓰기는 세상에 못할 일중의 하나인 것 같다.
또한, "출근 시간도 한참 지나서 잠을 깼다."로 시작하는 시 '카프카, 당신도 나를 찾았었지' 도 독특하다. 흔히 보아 온 시가 아니다. 무슨 시가 활자가 그리도 많은지. 시 같기도 하고 짧은 에세이 같기도 하다. 이런 시도 나름 좋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