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밥먹지 마라
키이스 페라지 외 지음, 이종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내가 속해 있었던 그룹은, 처음엔 나름대로 재미있고 좋은 곳이라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서로에 대한 불만과 오해, 상처등으로 참 견디기 힘든 시간을 보냈던 적이 있었다. 도무지 이게 언제 누구에게로부터 시작이 됐고, 무슨 일로 그렇게 됐는지 모르겠다. 그냥 한시도 바람 잘 날없이 속수무책이었다.

그 모임은, 이 사람 흉은 저 사람한테 가서 보고, 저 사람 흉은 또 다른 사람에게 보고, 모두들 한 고집, 한 성질하는 사람들이라 자기네 스스로도 힘들어 하면서도 변화될 조짐이 없어보였다. 그저 서로가 죽어 주길 바랄 뿐이었다. 아무리 한 개성들 하다고는 하지만 왜 서로에 대한 배려없이 그처럼 상대를 무시할 수 있을까? 결국엔 난 그 모임에 나가지 않게 되었고, 간간히 얼굴을 비추는 정도에서 관계를 이어 나갔었다.

그래도 미운 정이 고운 정 보다 더 무섭다고 했던가? 모임에 아예 발을 끊으면 나만 소외되는 것 같아 가끔 모임에 얼굴을 비추곤 했다.  옛 속담에도 광에서 인심 난다고, 먹는 것엔 인색하지 않아 모이면 배가 터지도록 먹고 깔깔대고 웃으며 스트레스를 풀었던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 그런 거는 또 잘 하지 않는가? 싸울 땐 다신 안 볼 사람처럼 하다가도, 밥 먹으면 풀어지는 것.

이렇게 우리는 일이 아니면 서로 너무 잘 지낼 수 있는 사람들인데, 일로써 만나면 서로를 잡아 먹지 못해 안달인지 모르겠다. 그때 우리의 미션 프로젝트는, 내 말을 들으라! 였다. 역설적으로 사람이 독주 내지는 독재를 부리는 건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을 생래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일까? 그런데 우린 왜 상대를 내 편으로 만드는데 그처럼 미숙했던 것일까? 나의 생각은 옳지만 너의 생각은 틀리다는 게 모임의 주요골자였다. 하지만 그 정도나 양상은 조금은 달라도 어느 모임이든지 이런 위험요소들은 다 존재하지 않을까?

19,20세기의 사고 방식은 어떻게 하면  타인을 지배하며 정복할까? 남 보다 뛰어날까였면, 21세기는 어떻게 하면 타인과 조화롭게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좋은 성과를 낼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한다. 이름하여 '상생'이 키워드인 것이다.

이 세상에 혼자 잘 지낼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다. 독야청청, 독불장군은 세상을 살기가 어렵잖은가. 일만 하기도 바빠 죽겠는데, 관계도 좋아야 한다면 얼마나 피곤할까?  하지만 이젠 관계가 좋고 정보만 공유할 수 있어도 사람들은 훨씬 더 풍성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은 이 책의 저자는 몸소 체험한 것을 토대로 증명하고 있다.

솔직히 나는 요즘들어 갈수록 내가 무슨 일을 하며, 어떻게 하면 풍성한 삶을 살 수 있을까에 집중되어 가는 것을 느낀다. 이것은 나의 열망을 반영하는 것과 동시에 그만큼 현재 그러한 삶을 살고 있지 못하는의 삶이 느낌을 반증이기도 하리라.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미처 깨닫지 못하는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깨달음을 얻었고 동시에 마음이 풍성해지고 유쾌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이 책의 원리를 조금이라도 내가 예전에 속했던 모임 속에서 실행해 보았더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을 해 봤다. 그랬더라면 조금은 내가 편하고 조금이라도 유쾌해지지 않았을까? 지금도 여전히 그때 그 사람들을 만나면 좋긴 하지만, 예전에 우린 그랬었지 하며 추억을 얘기할 때 동시에 아픈 기억도 되살려야 한다는 것이 안타깝다. 그래서 있을 때 잘 하라지 않던가.

언젠가 아는 분이 올린 페이퍼에 나는 무슨 말끝에 "나는 못 생긴 건 참을 수 있지만, 매너 없는 사람은 용서할 수 없다"는 댓글을 단적이 있었는데, 그건 정말이다. 잘 생겼는데 매너 없는 것 보다 못 생겼지만 매너 있는 사람이 훨씬 좋다.

매너가 좋다는 건 뭘까? 그만큼 사람과 잘 지내는 방법을 안다는 것일게다. 그리고 요즘엔 서로 잘 살아야 살아남을 수 있는 사회가 되야하기 때문에, 매너가 좋다는 건 그만큼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안다는 사람일 것이다. 또한 처세를 안다는 것일 것이다. 그래서 예전엔, 그 사람 비지니스를 잘 해. 하면 얍삽하고 여우 같다고 할지 모르지만, 요즘엔 능력있는 사람으로 그런 사람에게서 한 수 배우고 싶어한다.

지금 매스컴에선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을거란 전망들을 내놓고 있다. 그러면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세상을 탓할 것인지 안 봐도 비디오다. 경제가 안 좋으면 사람의 마음이 점점 메마르고 팍팍해질 것이다. 무슨 집단심리라도 걸린 사람들처럼 너도나도 볼멘 소리를 많이하게 될것이다. 혼자 밥 먹을 사람은 또 얼마나 많을까?

그렇지 않아도 혼자하는 문화가 점점 확산되고 개발된다고 하는데 이건 그리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함께하는 문화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 같다. 혼자서는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는 게 일반적인 지론이라는 걸 알면서 우리의 문화는 혼자 살기 좋은 문화가 많으니 모순이다. 지금 당장 혼자 밥 먹지 않기 위해 누구와 밥 먹을지를  생각해 봐야할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9-02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책을 선물한 사람의 안목도 돋보입니다. 저도 재미있게 읽은책이죠.
근데 우리문화는 어릴때부터 집단적으로 하는것이지 혼자하는것은 아니잖아요.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구분못하는 집단주의 문화죠.
여자들중에는 혼자 밥먹을 바에는 굶겠다고 말하는 이들 많던데요.
집단적 이기주보다는 개인주의가 좋습니다.

프레이야 2006-09-02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오늘 점심 스터디 하고 문우들과 먹을거에요^^ 스텔라님도 좋은 사람, 혹은 사람들과 함께 드시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Mephistopheles 2006-09-02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 구구절절 옳은 말이라고 생각해요...특히 매너...
한사람의 됨됨이를 판단하는 척도라고 보고 싶어요...^^

stella.K 2006-09-02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뽀뽀님/그도 그렇겠군요.

배혜경님/저는 웬만해서 혼자 밥 못 먹습니다.^^

메피스토님/오늘은 사무실에 나오셨나봐요.^^

아니 그런데 세 분 중 한분도 추천을 안 하셨군요. 이런 민망할데가...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