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순간들 - 박금산 소설집
박금산 지음 / 비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면 소설 작법에 관한 책인가 싶기도 하다. 또 어찌 보면 '영감이 오는 순간'을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 반대로 수도 없이 발단만을 쓰고 완성하지 못한 어느 고독한 소설가 지망생의 습작 원고가 생각나기도 한다. 그런데 자세히 봤더니 소설집이다. 아니 그보단 둘 다를 섞어놓은 책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또는 소설 작법을 소설로 보여주는 책이라고 해야 할 것도 같고.


저자가 좀 낯설긴 한데 모 대학 문창과 교수고 그동안 몇 권의 책도 냈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것은 소설의 구성 요소를 따르기 때문이다. 즉 발단-전개-절정(또는 갈등)- 결말 각 단계가 의미하는 바와 방법을 설명하고 또 그에 맞는 몇 편의 플래시 픽션(아주 짧은 소설)을 보여주고 있다.


보통의 경우 소설 작법 따로 작품집 따로 내지 않는가. 그런데 이 책은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았다. 저자의 이런 시도가 다소 엉뚱하기도 하고, 때론 야심 차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런 시도 마음에 든다. 일단 신선하지 않은가. 작품도 플래시 픽션이라고 하지만 저자 특유의 예리한 필치가 느껴져 나름 만족하며 읽었다.


특히 소설의 각 단계를 설명한 글이 심플하면서도 뇌리에 박힌다. 이렇게 깔끔하게 썼다면 굳이 두꺼운 소설작법서를 읽을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그건 그 나름의 매력과 장점이 없는 건 아니다. 아니 요즘 작법서들 정말 눈 돌아가게 잘 나와있다. 하지만 그런 책만 읽으면 정작 창작을 못할 수도 있다.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그런 책 읽었다고 글을 더 잘 쓰는 건 아니다. 모르긴 해도 저자는 작법에 관한 설명은 최소화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동기유발을 시켜 직접 써보게끔 하려고 이 책을 낸 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작가는 어디까지나 작품으로 말해야지 작법으로 말하는 사람은 아니니까.


우선 저자는 소설을 본격적으로 쓰는 일에 앞서, 9회 말 투 아웃 만루 상황을 염두에 두고 쓰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알겠지만 소설을 야구 경기에 빗댄 말이다. 그러고는 발단을 서핑에 비유한다. 멋진 파도가 왔고, 그것을 잡기 위해 팔을 젓기 시작하는 것 그것이 발단이다. 지금까지 발단을 이렇게 말하는 걸 들어보지 못했다. 그렇다고 이 말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아니다. 평생 서핑을 타지 못했어도 이해가 된다. 훅하고 바닷바람을 맞는 것 같았다.


전개는 어떤가. 서핑은 네 단계로 이루어졌는데, 팔을 젓기, 일어서기, 파도타기, 파도에서 내려오기가 그것이다. 그중 전개는 서핑보드 위에 올라서는 과정이란다.


그렇다면 절정은 어떠한가? 짐작했겠지만 파도타기다. 하지만 중요한 건 화려하게 파도를 잡아야지 그것에 먹히면 안 된다. 소설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절정은 소설의 전부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며 좋은 절정은 다른 클라이맥스를 떠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그것이 전부인 건 맞지만 절벽이 되어서는 곤란하다고 했다. 즉 클라이맥스를 만들겠다고 등장인물을 절벽 끝으로 몰아가는 건 좋지만 거기서 추락시키면 안 된다는 것이다. 서핑으로 말하면 파도에서 나오는 방법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죽음이다. 세상에 어떤 작가가 절정에서 등장인물 그것도 주인공을 죽인단 말인가. 그런 만큼 작가는 절정에서 결말로 가는 길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저자는 결말은 외길이어야 한다고 했다. 아까 말하지 않았는가, 소설은 야구의 9회 말 투 아웃 만루 상황과 같다고. 그 말은 소설을 쓸 때 결말부터 생각하고 쓰라는 말이다. 이걸 또 서핑에 비유하자면, 서핑 고수는 파도에서 빠져나오면서 자기가 탄 파도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많은 작가들이 결말부터 쓰거나 아무튼 결말을 설정하고 쓰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고 보니 글쓰기의 영원한 명제 '설명하지 말고 보여주라'는 말을 이처럼 잘 실천한 글이 또 있을까 싶다. 더구나 소설 작법을 말이다. 이만하면 더 이상 소설 작법에 관한 책은 그만 읽어도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아니나 다를까 저자는 더 이상 설명을 하지 않고 작품에서 각 단계별로 그것을 증명해 보인다.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그런 시도는 나쁘지 않은데 난 잘 모르겠다. 각 단계별로 나오는 짧은 소설이 각자의 포지션을 의미하고 있는지. 워낙에 짧은 소설이고 각 소설은 그 자체만으로도 완결미를 보여주고 있는데 무슨... 차라리 그럴 것 같으면 작품 하나 가지고 각을 뜨듯 보여주는 게 낫지 않을까. 마침 초단편을 쓰는 어느 작가가 그에 대한 작법을 소개한 책도 나와있는 상황이다.


그래도 책의 '소설을 잘 쓰려면'이란 제목의 소설은 위의 내용과 계속 이어 어질만해서 언급해 본다. 거듭 말하지만 소설은 야구의 9회 말 투 아웃 만루다. 그리고 그렇게 천신만고 끝에 완성한 소설을 누군가에게 보여줄 때 그게 누구든 간에 뭐에 관한 소설이라고 간단 명료하게 알려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궁금증을 유발해야 한다. 이를테면 '소설을 잘 쓰려면'이란 소설의 내용은 그것을 잘 하지 못해 버벅거리는 상황에서 화자의 교수에게서 도움을 받는 과정을 담담하게 보여주는 얘기다.


이때 교수는 더불어 짧게 쓸 것을 강조하기도 한다. 얼마나 중요한지 파스칼의 말을 인용하기까지 하는데 그는 어느 책에선가 '시간이 없어서 이렇게 길게 쓸 수밖에 없었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구한다'라고 썼다고 한다. 그러면서 줄여 말할 수 있어야 진정한 소설이고, 그 줄여 말한 게 재미있어야 영원한 소설이라며 그걸 화자인 제자에게 등단선물처럼 남겨준다. 이 부분을 읽는데 저자의 마음이 느껴졌다. 아직도 제대로 된 글을 쓰지 못하고 하얀 화면에 껌뻑이는 커서만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을 소설가 지망생을 시크하게 위로하는 것만 같다.


그렇지 않아도 저자가 서문에서 이 책을 내는 의도를 무려 8 가지로 밝혔는데 좀 울컥했다. (지면상 다 밝힐 수는 없고 책에서 직접 확인하길) 저자가 정말 소설에 진심이구나 싶었다. 실제로도 작품을 읽어보면 정말 열심히 꾹꾹 눌러가며 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원고를 들고 편집자를 찾아갔을 때 편집자가 그런 말을 하더란다. 백일장에서 1등 먹은 소설 같다고. 한마디로 잘 쓴 작품이라는 소리다. 이런 말을 읽고 질투든 자존심에 스크래치든 궁금증이든 뭐든 느끼는 사람이 글을 쓸 것이다. (저자가 밝히진 않았지만 이게 제9의 의도는 아닐까. 아님 말고.)


솔직히 나는 작법에 관한 책을 내는 작가들은 특별할 수는 있어도 존경하지는 않는다. 또한 한때 열심히 작품을 썼으나 이러저러한 문학상 심사위원으로나 후학양성으로 자리를 옮겨 앉거나 어느 날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작가에 대해서도 아쉬움이 있다. 난 사람들이 읽든 안 읽든 여전히 글을 쓰는 작가를 존경한다. 궁극적으로 그런 작가가 있기 때문에 그의 뒤를 보고 쫓아가는 후배 작가가 있는 거지 그런 '빨간펜 선생님' 때문에 있는 건 아닐 것이다. 물론 그런 선생이 자신의 작품도 꾸준히 내고 있다면 더 이상 말할 것도 없고. 이제 소설 작법 그만 봐라. 빨간펜 선생님도 그만 만나라. 양을 이기는 질은 없다. 많이 보고, 많이 쓰는 것 그것 말고 무엇이 있겠는가. 지금은 자신의 작품을 쓸 때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4-05-16 06: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연장전으로 이어지는 야구 경기를 소설로 비유하면, 결말이 있어도 작가가 더 쓸 내용이 남았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러면 연장전 게임은 ‘연작 소설’이겠군요. ㅎㅎㅎ

stella.K 2024-05-16 10:02   좋아요 0 | URL
ㅎㅎ 그럴수도 있지. 그래서 중편 정도되는 걸 장편으로 늘리기도 하니까. 근데 저자는 결말을 알고 쓰라는 뜻인데 저자도 너와 같은 생각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드네. ^^

페크pek0501 2024-05-17 16: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단락의 글에 동의합니다. 한때 작법 책을 많이 보긴 했는데 그게 나쁘다는 건 아니지만 자신이 소설을 쓰면서 작법을 알아가는 방법이 더 좋은 것 같단 생각을 요즘 합니다. 에세이도 쓰다 보면 스스로 터득하게 되는 작법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stella.K 2024-05-17 16:29   좋아요 1 | URL
그 작법책이 은근 묘하게 마음을 끄는 게 있어요. 왠지 읽고 있으면 더 잘 쓸 것만 같고. 근데 읽으면 그때 뿐이죠. 쓰면서 알아가고 자신만의 작법을 개척해 나가는 거. 거 좋은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 저자도 그걸 염두했던 것 같기도 하고요. 작가는 길을 닦는 사람이 되야하는 것 같아요. 후배 작가를 위해서. 너무 감상적인가요? ㅋㅋ

물감 2024-05-22 16: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저도 꾸준한 작가를 더 좋아합니다. 그런 타입들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샘솟는 우물은 고이지 않고 어딘가로 흐르기 때문에 생명력을 가지잖아요? 생각에는 그런 운동에너지가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누가 읽든 안 읽든요! 게으른 프로보다 성실한 아마추어가 더 낫습니다ㅎㅎㅎ

stella.K 2024-05-22 19:55   좋아요 1 | URL
이거 뭐 청출어람도 아니고 댓글을 리뷰보다 잘 쓰면
글쓴이는 어쩌라구요? ㅎㅎㅎ
근데 청출어람의 원래의 뜻이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라는
뜻인 거 알고 있나요? 그래서 물감님인가?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