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문인 5人 추천] 내 생애 최고의 연애소설은?

 

초콜릿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이 날에 어울리는 문학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젊은 문인들에게 기억에 남는 연애소설을 추천받았다. 몇 달 전 발간된 장편<비타>부터 국내 단 300부만 한정 발간된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단편 '죽음에 이르는 병'까지 이들이 꼽은 작품은 다양했다.

초콜릿 바구니 속에 달콤 쌉싸름한 책 한 권을 함께 넣어보면 어떨까?



이기호 '사랑은 어떻게 소멸되는가'


그가 추천한 연애소설은 박범신의 장편 <침묵의 집>. 이기호 소설가는 명지대 대학원 재학 당시 박범신 작가를 사사한 바 있다.

"제가 박범신 선생님 작품을 추천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제가 읽은 최고의 연애소설이에요. 나이 많은 여자 시인과 나이 어린 유부남이 바이칼까지 가서 펼치는 사랑 이야기죠. 사랑에 대한 감정이 시간에 따라서 소멸되는 걸 뻔히 알면서 거기로 나가는 연인을 그린 작품입니다."

 
 


 


















오현종 '사랑을 포착한 시적인 문장'

 

재기 넘치는 이 작가가 꼽은 연애소설은 마가렛 애트우드의 <눈먼 암살자>. 캐나다 최초의 페미니즘 작가로 평가받는 애트우드는 다양한 작품에서 환경과 인권, 예술, 여성의 삶을 비중 있게 다루며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다.
"주인공의 이야기 안에 여동생이 쓴 소설 이야기가 또 나와요. 그 이야기가 눈먼 암살자예요. 노동운동가와 유부녀가 주위 시선을 피해 밀회를 나누는 이야기죠."

 

  

 

 

 


손홍규 '왜 사랑할 때 바보가 될까?'


그가 꼽은 연애소설은 어떤 작품일까? 슈테판 츠바이크의 <태초에 사랑이 있었다>라고 대답한다. 작가의 작품 색깔을 생각할 때 다소 의외의 추천이다.

젊은 시절 풍요로운 삶을 꿈꾸며 결혼한 여자는 남자에게 무릎을 꿇고 사랑과 돈을 요구한다. 남자는 자신이 아내에게 필요한 존재란 사실을 즐기며 그것을 사랑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언제나 꼭 쓸 만큼만의 돈을 주던 남자는 아내의 엄마가 아픈 사실을 알고 미리 돈을 준비하지만, 정작 여자에게 인색하게 굴며 아내가 한 번 더 무릎 꿇고 애원하길 바란다.


 








 



백영옥 '이 가난한 연인의 선택'


"장편소설 <비타>인데, 스케일이 커요. 주노 디아스의 <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의 이탈리아판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해요.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마술적 리얼리즘 성향도 있고요."

소설은 비타와 디아만테의 비극적 연애담이 중심을 이룬다. 둘은 아메리카 드림을 안고 이탈리아에서 미국으로 건너오지만, 이들 앞에 펼쳐진 현실은 팍팍하다. 디아만테는 비타와의 미래를 위해 신문 배달, 넝마주이, 장의사 보조역 등 온갖 잡일을 마다하지 않지만, 비타에게는 눈앞의 현실이 더 중요하다.

 
 


  








신형철 '이런 사랑도 사랑일까?'


 그가 추천한 연애소설은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단편 '죽음에 이르는 병'. 1982년 발표한 소설은 200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에서 300부 한정 출간된 바 있다. 설치미술가 양혜규 씨가 뒤라스의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한 '셋을 위한 목소리'란 전시회를 열었고,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간된 것. <모데라토 칸타빌레>등 뒤라스의 소설을 우리말로 옮긴 정희성 씨가 번역을 맡았다.







 신형철 '이런 사랑도 사랑일까?'

그가 추천한 연애소설은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단편 '죽음에 이르는 병'. 1982년 발표한 소설은 2008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사미술공간에서 300부 한정 출간된 바 있다. 설치미술가 양혜규 씨가 뒤라스의 이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한 '셋을 위한 목소리'란 전시회를 열었고,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간된 것. <모데라토 칸타빌레>등 뒤라스의 소설을 우리말로 옮긴 정희성 씨가 번역을 맡았다.


[출처] [젊은 문인 5人 추천] 내 생애 최고의 연애소설은? (::문학동네::) |작성자 해라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1-02-09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도스트예프스키의 <가난한 사람들> 이요. 더 생각해보면 많겠지만 이 책이 제일 먼저 떠오르네요.

stella.K 2011-02-09 14:22   좋아요 0 | URL
오, 도스토옙스키가 연애소설도 썼군요.
전 위의 책 하나도 못 읽었어요.
연애소설 항상 읽고 싶었는데 뭐하느라고...ㅠ


L.SHIN 2011-02-09 2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스테님.^^
오랜만입니다. 그 동안 잘 지내셨나요? 나 없다고 외로워서 울지는 않았고? ㅋㅋ

애석하게도, 저는 연애소설을 그다지 접하지 않아서 다..모르는 작가에요..( -_-);

stella.K 2011-02-10 10:50   좋아요 0 | URL
우우~~!이게 누구시란 말입니까?
왜 아니게요. 보고 싶었습니다.
잘 지내죠? 반갑고, 또 반갑습니다. 엘신님!ㅎㅎ

cyrus 2011-02-09 2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글 읽으면서 제가 감명 깊게 읽은 연애소설을 떠올려보니,,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읽은 적이 없네요. -_-
요즘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 읽고 있으니
<오만과 편견>이 연애소설에 분류되는지 모르겠지만
오스틴과 브론테의 소설이 갑자기 읽고 싶어지네요.^^

stella.K 2011-02-10 10:51   좋아요 0 | URL
아, 그게 있었군요.
확실히 위의 작가들은 앞서가는 느낌이 들죠?
저한테 물어봤다면 저도 시루스님 비슷한 대답을 했을 것 같아요.^^

메르헨 2011-02-10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제목이 낯설군요. 늘 뭔가를 읽고 있는데 ... 늘 모르는 책들이...아효...
스텔라님, 답방 왔습니다.^^

stella.K 2011-02-11 11:01   좋아요 0 | URL
저도 마찬가지랍니다. 책이 워낙 많은 까닭이죠.
그렇게 생각하기로 했슴다.^^

iamtext 2011-02-10 1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국내 소설로는 이응준의 약혼. 이윤기 번역의 결혼을 향하여..

stella.K 2011-02-11 11:00   좋아요 0 | URL
오호! 그런 책이 있었군요.^^

2011-02-11 21: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1-02-12 12:59   좋아요 0 | URL
오, 이거 아무래도 알라디너가 추천하는 연애소설 페이퍼 따로
마련해야할까 봐요. 알겠습니다.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