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요즘 관심있게 보는 TV 프로가 있다. 그것은 EBS에서 밤에 하는 10부작 <더 홈>이다. 학교 때 과학 과목엔 별 흥미를 못 느꼈는데 그래도 생물이나 천문학은 왠지 마음이 갔다. 물론 졸업하고는 이런 쪽에 아예 잊고 살았다. 그런데 이 프로가 나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우주 과학자들은 어떻게 우주를 연구했을까. 그들의 연구는 확실한 걸까? 지구도 다 연구를 못할 텐데 태양의 넓이와 온도, 은하계 기타 등등의 것들을 언제 그렇게 밝혀 놓은 걸까.


우주는 일상과 너무 많이 떨어져 있다. 그래서 관심을 둘만하다. 죽음은 알 수 없지만 우주는 마음만 먹으면 알 수 있다. 게다가 천문학은 문학의 영역이라고 하지 않는가. 일석이조 아닐까? 하늘도 알고, 문학도 알고.ㅋ
10분 정도 하는데 영상이 정말 뛰어나다. 이지아 배우가 해설을 맡았는데 나는 별로 관심이 없는데 여기선 나름 꽤 매력적으로 나온다. 위의 사진은 이지아 배우가 태양을 설명할 때다. 정말 조그맣지 않나.ㅋ
어제는 초신성에 대해서 했다. 천문학에서 인간은 생각하는 별의 먼지라고 했다. 뭐 창조론을 믿는 나지만 인간을 설명하는데 어디 한 가지로만 가능하겠는가. 저렇게 설명을해 놓으니 그도 그럴듯하고 시적이란 느낌마저 든다. 한 회, 한 회 끝나가는 게 아쉬울 정돈데 나중에 한 번 더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