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출판사와 함께 하는 콘텐츠입니다.
개혁주의 신학에 푹 빠져서 아예 자신이 책을 내겠다고 
출판사까지 차린 다함출판사의 이웅석 대표님과 대화를 나눠보았습니다.
이 무모한(?) 결단에 많은 격려 부탁드립니다. ^^
영상 말미에 책 선물 이벤트 내용도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기다리겠습니다. 
이벤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영상 하단 고정댓글을 참고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과학과 기독교가 훌륭한 이성의 동반자인 반면,

과학과 무신론은 그렇지 않다고 확신한다.

예를 들어 과학은 일정 수준 물질세계와

인간의 정신 사이의 관계를 가정하고 연구한다.

이것을 믿지 않는다면 과학자는 어떤 연구도 할 수 없다.

하지만 어떠한 인과 관계도 무시한 채

확률이나 우연에 의한 기원만을 가정하는 무신론으로부터

더 이상 얻을 것은 없다.


존 레녹스, 『2084 : 인공지능과 인류의 미래』 중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5-06 0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든 과학자가 무신론자는 아니지만 무신론자중에서 과학자가 많은 것도 사실이지요.오래전 아마 96년도인가 네이처지에 실린 기사로 기억하는데 내용은 대충 1914년에 과학자 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무작위 추출)를 해보니 58%가 무신론자 혹은 불가지론자였고 이중 좀더 뛰어난 과학자를 4백명으로 추릴 경우 그 비중이 70%로 올라갔고.20년뒤 같은 조사 결과 무신론자 비률은 67%와 85%로 올라갔다고 합니다.이후 96년에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무신론자 비율은 61%와 93%로 올라갔다고 합니다.
설문에 참여했던 과학자중 한명은 종교와 과학의 두 지식은 서로 너무나 이질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과학적 지식과 종교적 믿음을 동시에 가지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런 사람이 본질적인 의미에서 진짜 과학자가 될 수 있는지는 대단히 의심스럽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노란가방 2025-05-06 15:39   좋아요 0 | URL
네, 20세기 초반은 과학으로 뭐든지 다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은 이성주의의 오만이 하늘을 찔렀던 시대지요. 그리고 그 결과가 두 차레의 세계대전이었고요. 철학적으로 보면 그 시대를 지나면서 이성만능주의에 대한 희망은 완전히 폐기되고 대신 실존주의 같은 조금 다른 흐름이 시작되었지요.

잘 아시겠지만, 물리학이든 생물하기든 어느 정도 기원에 관한 연구로 올라가면 유물론적 해설에 대한 명백한 ˝믿음˝과 ˝헌신˝이 필요한 단계까지 이르게 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 신념을 계속 유지하는 데는 생각보다 큰 믿음이 필요하지요. 물론 거기까지 생각이 이르지 못하는 분들도 많이 있지요.
 


인간 삶의 대부분은 행복을 위한 투쟁이다.

반면 고양이들 사이에서 행복은

그들 자신의 안녕에 대한 실질적인 위협이 제거되면

그들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상태다.

그것이 우리 중 많은 사람이 고양이를 사랑하는 주된 이유일 것이다.

고양이는 태어날 때부터 지극한 행복을 갖고,

인간은 자주 그것을 획득하는 데 실패한다.


- 존 그레이, 『고양이 철학』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4월 한 달 간 만났던 책들을 소개합니다.
지난 달엔 평소보다 좀 적게 읽었는데요,
그래도 나름 즐거운 책들이 많아서 좋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의 삶이 더 이상 어떤 질문을 불러일으키지 않을 때,

복음 전도는 쇠퇴한다.


- 짐 월리스, 『회심』 중에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5-02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회에서 질문이 않으면 믿음이 부족하기에 그렇다고 하시더군요

노란가방 2025-05-02 22:28   좋아요 0 | URL
아... 최악의 대답이지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