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전쟁과 정복을 삶의 목적으로 생각하던 고대 그리스의 폭군 암피트리온의 아내 알크메네는 이 끝없는 폭력을 끝내기 위해 헤라 신전에 가서 기도를 하던 중 신의 아들을 낳게 될 것이라는 계시를 받는다. 그렇게 태어난 아이가 바로 헤라클레스다. 그의 아버지 암피트리온은 그런 헤라클레스를 인정하지 않았고, 한술 더 떠 그를 제거하고자 적은 수의 군대와 함께 이집트로 보내버린다.
결국 전투에서 패해 노예가 된 헤라클레스. 하지만 뛰어난 싸움꾼이었던 그는 곧 투기장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마침내 그리스로 돌아오게 된다. 암피트리온의 폭정으로 괴로워하던 사람들을 규합해 반란을 일으킨 헤라클레스, 그리스 신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전혀 다른 버전으로 탄생시킨 영웅의 이야기가 이렇게 시작됐다.

2. 감상평 。。。。。。。
영화가 고대 그리스 신화의 내용과 얼마나 부합하느냐를 생각해 보는 것도 나름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뭐 고대 그리스 신화라는 게 한 사람이 쓴, 일관된 내용과 구조, 의의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 수백 년 동안 다양한 지방에 살던 다양한 이야기꾼들에 의해 만들어진 전승인 이상, 뭐 꼭 그대로 따라갈 필요는 없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물론 이 영화가 알려진 고대 신화의 내용과는 상당부분 다르다는 건 알고 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
예컨대 ‘헤라클레스’라는 이름의 의미가 ‘헤라 여신의 선물’이라는 의미이긴 하지만, 그건 헤라 여신의 축복 속에 태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제우스의 간통에 분노한 헤라 여신을 달래기 위한 목적이 다분했다는 것..;; 그 외에도 영화는 알려진 인물들의 이름과 구도만 가져와서 전혀 다른 이야기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쯤 되면 그냥 헤라클레스의 모티브만 가져왔다고 해야 하는 게...

영화의 아쉬운 부분은 한 두 개가 아니다. 일단 이야기 자체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하고 어디선가 봤던, 전형적인 에피소드들로 가득 차 있다. 특히 주인공이 노예 검투사가 되어 연전연승한다는 이야기는, 우리나라 사극 드라마에서도 사료가 부족한 인물을 다룰 때 즐겨 사용하던 뻔한 에피소드다.(대조영도, 해신도..ㅋㅋ) 헤라클레스가 백성들의 지지와 인기를 모으는 이유도 거의 설명되지 않으니.. 영화를 보는 사람도 그에게 동조하고 싶은 마음이 잘 들지 않는다.
규모도 좀 아쉬운데, 컴퓨터 그래픽으로 상당 부분 커버를 시도하긴 했지만, 실제 전투 장면은 그럴 수 없으니까.. 물론 300 시리즈처럼 엄청난 물량을 동원하는 장면을 기대하지는 않더라도, 지나치게 적은 수의 액션배우들은 민망하기까지 하다. 반란군을 진압하는 데 고작 80명의 진압군을 보낸다는 것도 우습지만, 정작 싸움장면에는 그 반쯤 밖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쯤 되면 MBC나 SBS 사극 수준. 여기에 광선검, 아니 번개채찍이 등장할 때의 놀라움(?)이란.....;;
하지만 액션 자체는 그렇게 나쁘지 않다. 그리고 이를 그려내는 카메라워킹도. 사실 헤라클레스라는 인물 자체가 누구와 함께 일하기보다는 자기 잘난 맛에 혼자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는 천방지축 캐릭터니 차라리 이쪽에 초점을 맞췄더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싶기도..
처음부터 ‘레전드 비긴즈’라는, 대놓고 속편을 제작하겠단 의지를 보이고 내놓았으니 최소한 속편이 하나 이상은 만들어질 것 같은데, 첫 편을 이렇게 말아먹었으니 다음 작품들이 제대로 만들어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