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어린
딸을 암으로 잃고 직장과 아내 모두를 잃은 전직 경찰 빌(리암 니슨). 항공기 납치를 막기 우한 항공보안요원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좀처럼 술에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한다. 어느 날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탑승한 뉴욕발 비행기 안에서 보안통신네트워크로 의문의 협박 메시지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20분 안으로 지정된 계좌로 1억 5천만 달러를 입금하지 않으면 승객 중 한 명을 죽이겠다는
것.
20분이 지났을 때 협박범들의 말처럼 정말로 한 사람이 죽었고, 누구도 예상치 못한 의외의 방식이었다. 혼란에 빠진 빌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누가 이 일을 저지르고 있는지 찾아내려고 하지만 희생자들은 계속 늘어가기만 한다. 빌의 강압적인 수사방식은 오해를 낳고, 그가
테러범이라는 의혹이 퍼져가기 시작한다. 150여 명의 승객과 승무원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폭탄까지 발견된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테러범을 찾기 위한
빌의 노력은 계속된다.

2. 감상평 。。。。。。。
잘
짜인 각본에, 적절한 인물들, 그리고 공중에 떠 있는 비행기 안이라는 제한적 공간이 잘 어우러져 긴장감을 자아낸다. 특히 관객의 머리마저 쥐가
날 정도로 치밀하게 만들어 놓은 스토리 장치들이 좋다. 20분마다 한 명씩 살해된다는 기본 얼개는 영화가 진행되면서도 긴장감을 떨어뜨리지 않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열쇠였고, 그 많은
승객과 승무원 중에 누구를 의심하고 누구를 믿어야 할지, 그 동안 수집해 온 정보의 신빙성조차 의심되는 상황 등등 영화에 빠져들게 만들 소재들이
다양하다. 극의 중반에 이를 때 즈음에는 정말로 빌의 자작극은 아니었을까 하는 의심이 들
정도였으니까.
물론
영화의 결말 부분의 지나친 영웅 만들기는 갑자기 좀 억지스러운 느낌을 준다. 또, 물론 상황은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 한 사람을 테러범으로
몰았다가 갑자기 영웅으로 떠받드는 언론의 가벼움은 영화 속에서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주목할 만한
부분이고.

영화
속에는 9.11 테러 이후 미국 사회 전체를 휩쓸고 있는 일종의 공포감을 반영되어 있다. 부시 정권은 소위 ‘애국법’을 제정하고
‘국토안보부’(요새도 치약폭탄이니 신발폭탄이니 하는 것들을 주장하면서 예산을 계속 타 내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부서다)가 창설되면서 미국
사회는 대단히 경직되기 시작했고, 실체가 없는 적들이 언제 공격해 올지 모른다는 집단적인 정서불안에 빠져들어 버렸다. (물론 이런 가운데서
이득을 보는 건 따로 있었지만 말이다.) 항공기마다 사복 차림의 요원들을 탑승시킨다는 아이디어도 이런데서 나온
거고.
하지만
영화에서도 볼 수 있듯, 그렇게 안달하면 할수록 빠져나갈 구멍은 더욱 넓어지는 법이다. 허둥대다 보면 챙기지 못하는 것이 나오게 되고, 적의
위협을 과장하다보면 어느 샌가 자기가 만들어낸 허상에 스스로 발목을 잡히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
거니까.
주말
저녁, 물론 그리 넓은 극장은 아니었지만 꽉 채울만한 영화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