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미국에서 돌아온 존(독일식으로 읽으면 ‘얀'이지만, 영어 더빙판이었기에 처음부터 끝까지 존이라고 불린다)은 좀 더 안정적인 직장을 얻기를 바라는 아버지와 관계가 좋지 않은 상태다. 4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그를 반겨주는 건 누나 소피와 절친한 친구(이지만 이제는 한때 존과도 썸씽이 있었던 에바의 남편이기도 한) 브루노 뿐.

 

     기상학자였던 존은 미국에서 자주 발생하는 토네이도가 거대한 규모로 베를린을 덮치게 될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관계기관(그 중에는 기상청에서 일하는 존의 아버지도 있었다)에게 경고하지만, 원체 보수적인 관료사회는 그의 경고를 무시한다. 결국 존의 경고대로 토네이도는 베를린을 덮쳤고, 도시는 혼란에 빠진다. 그 가운데서 자신의 가족들을 구하려는 중심인물들이 노력이 그려지고, 시간이 지나 토네이도가 물러가면서 영화는 마무리 된다.

 

 

 

 

2. 감상평    


     약간은 독특한 느낌의 독일영화. 영상이나 연출, 배경음악과 특수효과 같은 영화 전반에 걸쳐 헐리우드 식의 세련됨은 확실히 부족해 보이고, 어떻게 보면 미국식 홈드라마를 보는 듯한 느낌도 준다.

 

     인터넷의 영화 정보를 찾아보니 180분(무려 세 시간)이라는 무시무시한 상영시간을 보여주는데, 내가 본 건 120분으로 편집된 미국 더빙판이었다.(어쩌면 입과 말이 정확하게 맞지 않아서 더 어색한 느낌을 받았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120분짜리 영화도 충분히 지루했는데 180분짜리는 도대체 어떻게 볼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영화는 딱히 흥미로운 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

 

 

     어느 것 하나 주제를 단단히 붙잡지 못하고, 잡다한 이야기를 동시에 풀어 놓으려는 우를 범했기 때문인데, 뭐 평범한 재난 영화들이 일반적으로 범하는 잘못이기도 하고. 그래도 영화를 진지하게 대하려는 모습은 보인다. 경험을 쌓다 보면 발전도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