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자는 왜 금요일에 물고기를 먹는가 - 그리스도교의 전통과 일상
마이클 P. 폴리 지음, 이창훈 옮김 / 보누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1. 요약 。。。。。。。     

 

     기독교의 영향력을 인정하지 않고서 서양 역사를 그려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 책은, 족히 천년 이상 ‘기독교 세계’였었던 서양의 역사와 문화 속에 얼마나 기독교적 발자취가 깊이 남아 있는지를 항목에 따라 정리해서 보여준다. 이를테면 오늘날 우리들이 마시는 카푸치노라는 커피 음료는, 터키인들이 남기고 간 커피콩 자루를 얻은 카푸친회 수도사들이 그냥 먹기에 너무 썼던 그 차에 우유 등의 첨가물을 넣었던 데서 시작되었다는 것.

 

 

2. 감상평 。。。。。。。   

 

     저자의 열성적인 노력으로 일종의 작은 백과사전 같은 책이 만들어졌다. 책에 등장하는 항목들은 시간과 달력, 휴일, 음식, 건축, 놀이, 국기와 지명 등 참 다양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백과사전’이라는 책이 늘 그렇든, 모든 항목들마다 흥미롭거나 관심을 끌만한 내용들을 담고 있지는 않기 마련이니까.. 이 책 역시 마찬가지여서 몇몇 항목들은 분명 관심이 가는 것들도 있었지만, 또 많은 경우는 그냥 지나가는 식으로 밖에 읽히지 않았다.

 

     또 한 가지, 꼭 사전까지는 아니라도, 많은 항목들을 넣고 싶었던 저자의 욕심 때문인지, 몇몇 항목들은 좀 과도하게 ‘가톨릭’이라는 종교와의 인연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를테면 어떤 꽃이나 풀의 이름을 가톨릭 교인이 붙였다고 해서 그것이 가톨릭의 영향 때문이라고 말하는 건 좀 어렵지 않을까? 사실 그 시대 유럽에 사는 사람들은 명목상으로는 거의 전부 가톨릭 교인이었으니까 말이다. 그런 식으로라면 그 시대에 존재했던 모든 것이 다 가톨릭교와 관련이 있다고 해야 할 텐데, 뭐 그런 걸 원했던 것 아닐 것 같은데..

 

 

     기대했던 것만큼 흥미로운 내용으로 가득하지는 않았지만, 중세 기독교(사실 종교개혁 이전 시기에 있었던 일들은 굳이 가톨릭과 개신교로 구분하는 건 무의미하다)가 서양인들의 삶 전반에 얼마나 넓은 영향을 주었는지를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