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미래인가 - 위기 이후 세계를 위한 토플러의 제언
앨빈 토플러 지음, 김원호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1. 요약 。。。。。。。     

 

     저명한 미래학자인 앨빈 토플러와 미국의 출판사 사우스엔드프레스의 관계자들이 새로운 기술적 발전이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까라는 주제를 두고 인터뷰 형식으로 한 대화를 책으로 엮었다. 토플러는 산업화에 기반 한 현재의 정치, 경제, 문화적 구조들은 이미 낡은 것이 되어가고 있으며, 정보를 그 핵심가치로 하는 새로운 시대는 좀 더 분권적이고, 민주적인 모습을 띄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2. 감상평 。。。。。。。   

 

     도서관 신간 코너에 있기에 냅다 집어온 책이다. 전작인 『부의 미래』를 재미있게 읽었기도 했기에 이번 책 역시 기대감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토플러가 ‘제3의 물결’이라고 부르는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산업구조가 기존의 낡은 체제를 크게 뒤흔들 것이라는 전망을 중심으로 몇 개 분야에 걸쳐 그 실제적인 모습을 예상해보는 형식이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기대했던 것만큼 흥미롭지는 않았다. 저자가 예측하는 미래에 대한 모습은 굉장히 두루뭉술한 수준이고, 이전 책들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날카로운 분석이나 섬세한 예측은 별로 찾아볼 수 없었다. 정보 중심의 제3의 물결에 관한 논의 역시 새로운 것은 아니었고. 찾아보니까 책의 원서는 무려 1983년에 출판된 ‘Previews and Premises’였고, 따지고 보면 30년 전에 했던 인터뷰를 이제야 출간한 것이었다. 인터뷰 당시에는 굉장히 새롭고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었을 내용들이었을지 모르나, 지금 읽기에는 그런 장점들이 꽤나 줄어든 상황인 것도 당연했다.

 

    예컨대 2010~2020년 경에는 에너지 사용구조가 크게 달라질 것(118)이라는 저자의 예측은, 여전히 화석연료에 거의 의존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을 볼 때 조금은 많이 낙관적이었던 것이 아니었나 싶다. 비단 에너지 문제만이 아니라 저자는 전반적으로 기술의 발전이 큰 흐름에서 우리를 좀 더 나은 세상으로 이끌 것이라는 낙관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은데, 책의 내용을 통해서 이런 견해에 선뜻 동의가 되지는 않는다.

 

 

     다만 큰 틀에 관한 부분에서는 저자의 통찰력이 여전히 빛을 발한다. 예컨대 좌파나 우파 모두 과거에 대한 막연한 이상화에 빠져있다는 지적과, 비슷한 맥락에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모두 산업화에 뿌리박고 있는 (낡은) 사상일 뿐이며 미래에는 좀 다른 모습의 경제원리가 제시될 것이라는 부분 등이 그런 예들이다.

 

     아울러 저자가 30년 전에 정보사회에 맞는 산업들에 관해 제시했던 내용이 꽤나 의미있게 다가오기도 했다. 그는 새로운 기간산업들 - 통신, 바이오, 해양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정보, 전자 -을 육성하고, 교육훈련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학교로 대표되는 대량교육 시스템을 깨뜨려야 한다(107)고 주장한다. 그런데 2000년대에 등장한 우리나라의 어떤 정부는 취임 직후 해양수산부와 정보통신부를 해체하고 임기 내내 땅만 파는 구시대적 산업관으로 일용직만 양산하고 있고,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기계적 암기가 성공을 보장하는 대량생산식 학교 교육들이 확고하게 권력을 행사하며 수백 만 명의 학생들과 학부모들 위에 군림하고 있으니, 이거 그의 예측이 우리나라에서는 틀렸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이 나라가 여전히 산업화라는 구시대적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거라고 봐야하나.

 

 

     새책이지만, 새로운 내용은 아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