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종 - 하나님의 권위 아래서 누리는 보호와 자유
존 비비어 지음, 윤종석 옮김 / 두란노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 요약 。。。。。。。     

 

     성경에서 중요한 덕목으로 강조하고 있는 ‘순종’이라는 주제에 관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는 책. 저자는 성경이 말하는 순종이란 무엇인지에서부터 순종의 유익, 불순종의 위험성, 그리고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적용법에까지 폭넓은 방식으로 주제에 접근하고 있다.

 

 

2. 감상평 。。。。。。。   

 

     오늘날 교회 안에서 가장 인기 없는 주제 중 하나는 아마도 ‘순종’이 아닐까 싶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기를 원하고, 또 그것을 앞에 선 사람들, 리더들의 생각과 동일선상에 두고 저울질하려 한다. 민주주의라는 정치제도와 자기의 생각을 재빨리 광고하고 전달할 수 있는 SNS 도구들의 발달은 이러한 경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이런 시대에 그저 시키는 대로 하라는 식의 순종을 강요하는 것이야말로 폭압적인 일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좋다. 뭐 그런 면도 없지 않다. 오랜 군사독재 정부 시대를 거쳐 온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부도덕성과 무능력함은 권위에 대한 무조건적인 저항조차 어느 정도 이해되게 만들었으니까. 다만 그래서 좀 더 투명하고 정직한 사회가 되었는가는 곰곰이 따져봐야 하지 않을까. 정상적인 수업이 불가능할 정도로 교권이 추락한 교실, 의사소통이 사라져버린 거실, 그리고 모든 권위가 사라져 버린 현장에서 도리어 건전한 비판능력이 사라져버리고 충동적으로 휩쓸려 다니는 모습 등은 극단적인 자유주의적 사고가 책임져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특별히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태도가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건 결국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조심해야 한다는 저자의 지적은 곱씹어 봐야 할 부분이다. 악한 지도자들에 대한 경계도 중요하지만, 하나님이 세우신 권위에 대한 순종과 나아가 순종적 태도까지 의미하는 복종을 잊지 않는 것은 역사를 주관하시는 그분에 대한 경건한 믿음의 표현이기도 하니까.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들과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들을 자주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읽기에는 편하다. 와 닿는 면도 좀 더 생생할 수 있고. 다만 책을 읽는 사람들이 그의 경험에서 더 많은 은혜를 받으려고 할지도 모르겠다는 염려도 살짝 된다. 결국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최종적인 기준은 경험이 아니라 성경이 되어야 할 테니까. 저자 역시 몇몇 부분에서는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건전한 선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긴 하다.

 

     읽어볼 만한 책이다. 개인적으로도 도전을 받은 대목이 자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