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교회 지침서
랄프 네이버 지음 / 엔씨디(NCD)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1. 요약 。。。。。。。     

 

     실제적으로 한 교회를 셀교회로 전환시키는 데 필요한 여러 지침들을 담은 책이다. 앞서 읽었던 『제2의 종교개혁』이 셀교회의 필요성에 대한 선포라는 성격이 강했다면, 이 책은 좀 더 실제적인 로드맵을 담은 셈.

 

 

 

2. 감상평 。。。。。。。   

 

     어쩌다 보니 집에 있던 셀교회에 관한 책 두 권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책이 출판된 순서는 반대였지만, 뭐 또 내용상으로는 이런 순서대로 보는 것도 괜찮은 듯싶다. 아무튼 덕분에 셀교회의 이론적 배경과 전환 과정에 관해서는 대략적인 감을 잡을 수 있었다.

 

 

     다만 책을 읽으면서 지속적으로 들었던 의문 한 가지는, 그래서 셀 그룹 안에서 어떤 걸 하자는 건지 정확하게 와닿지 않는다는 것. 각각의 시기마다 사용할 수 있는 교재들이 있다면 이전의 성경공부, 혹은 구역모임과 형태상에 있어선 별 차이가 없어 보이고, 친교와 교제, 합심 기도 등이 주가 된다면 교회 밖 사교적 모임들과 어떤 부분에서 다른 걸까. 여기에 『제2의 종교개혁』에서도 들었던 질문 - 또 하나의 조직관리법일 뿐은 아닌가 -도 동일하게 나올 수 있고.

 

     시종일관 셀교회의 유효성, 혹은 정당성을, 그것을 채택한 교회들이 보여주는 ‘성장’ 혹은 ‘증식’, 즉 수적 증가에서 찾으려는 태도 역시 정당한가 싶다. 사실 이 책의 초반에서 저자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교회가 인구성장률에 비해 매우 낮은 교인 수 증가를 보여주기 때문에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는 식의 논리전개를 펴고 있기도 하지만, 그렇게 생각해버려도 되는 걸까.

 

 

     책에서 기존의 교회의 중요한 특징 하나를 잘 잡아냈는데, 바로 ‘프로그램 중심적 모델’이라는 부분이다. 그리고 아마도 셀교회의 가장 큰 특징은 (그 숫자 이외에도) 바로 이 반대쪽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하나의 프로그램에 사람들을 더 많이 참여시키는 데 중점을 두기보다는, 각각의 사람들이 서로 진지한 인격적 교제를 맺도록 하는 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것. 이 부분은 기존의 교회들이 꼭 곱씹어 볼만한 부분이다.

 

     어차피 교회의 가장 중심인 하나님과의 만남은 그 그룹의 대소가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건 아니라고 본다. 셀교회의 도입이 이런 중심적 가치를 도와주는 면이 있다면 기꺼이 그 장점을 받아들여야 할 부분이겠지만, 자칫 효율성이라는 현대인들의 우상숭배적 경향이 주도권을 행사하게 되지 않도록 조심 또한 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