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줄거리 。。。。。。。
2018년 미국 대통령은 재선을 위해 흑인 우주인을 달로 보내는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달에 도착하지 얼마 되지 않아 모든 통신은 끊어져버렸고, 우주인 제임스 워싱턴은 달의 ‘뒷편’에서 놀라운 인공구조물들과 함께 적대세력을 만나게 된다. 1945년 2차 세계대전의 패전 이후 모두 나치가 사라진 줄 알았지만, 그들 중 일부가 달로 피신해 우주 나치 제국을 건설하고 있었던 것. 달탐사선을 미국이 보낸 첩보선으로 이해한 차기 총통후보 클라우스는 때가 왔음을 깨닫고 마침내 병력을 동원해 지구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간만에 재미있는 B급 영화를 본다. 여기에서의 B급이라는 표현이 꼭 수준이 떨어지거나 허술하다는 의미는 아니고, 주류에서 벗어나 있다는 뜻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처음부터 대놓고 온갖 패러디와 (아마도) 오마쥬들이 섞여 있는 과장된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기에, 당연히 표면적인 의미구조와는 전혀 다른 진의를 가지고 진행되는 점이 영화의 포인트.

궁극의 무기인 괴터대머룽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기술력을 가진 우주 나치의 컴퓨터가 여전히 진공관이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듯한 거대한 컴퓨터만을 알고 있는 것도, 그래서 결국 클라우스가 지구에 내려와 가지고 돌아간 태블릿 컴퓨터 하나로 거대한 우주요새가 움직이게 된다는 것 등은 작은 웃음 요소에 불과하다. 영화 내내 실제 나치에서 깊이 연구했고 오늘날에도 일부 정신 나간 집단에서 숭배하는 시답잖은 우생학적 사고를 우스갯거리로 표현하고, 지난 미국 대선 때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나섰던 페일린 전 주지사를 꼭 닮은 영화 속 현직 미국 대통령(역시나 무식하고 충동적으로 그려진다)에 관한 여러 요소들(이를 테면 ‘Yes, We Can'이라는 지난 대선 오바마의 선거 구호를 풍자한 ’Yes, She Can'이라는 구호 등)은 미국의 대외정책을 비꼬는 데 중요한 요소다. 현실세계에 있어서 강대국이란 늘 말로 떠드는 것처럼 세계 평화나 인류 공영이라는 고상한 목표보다는 최고 지도자의 영달이나 국가의 지배층들의 부를 위해 종종 무모한 일까지 벌이는 집단이기도 하다는.

우주를 배경으로 한만큼 영상이 얼마나 받쳐 줄 수 있느냐도 관건이었는데, 헐리웃의 엄청난 돈을 쏟아 부은 것도 아닌데 제법 볼만한 그림이었다. 미국 영화의 전형적인 코드나 구성을 따라가지 않았으면서도 나름의 재미를 보여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