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서 만난 세상 - 대한민국 인권의 현주소를 찾아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박영희 외 지음, 김윤섭 사진 / 우리교육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우리나라 안에 여전히 남아 있는 인권 사각지대를 직접 발로 돌아다니면서 취재해 써낸 글을 엮은 책.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외국인 노동자들, 미혼모와 소록도 주민들처럼 익숙한 대상들만이 아니라 노인들, 선원들과 농촌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들 등 다양한 계층의 아픔들을 생생하게 써내려가고 있다.

 

 

2. 감상평 。。。。。。。       

 

     경제 성장, 좋다.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게 된다는데 싫다고 마다할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근데 방법이 틀렸다. 철저하게 기득권자들의 이익에 맞춰진 정책들과 경제논리들로는 결코 그런 사회는 이뤄지지 않는다. NEVER. 하지만 누가 뭐라고 떠들어대건 간에, 결국 세상을 움직이는 건 돈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어느덧 사람의 가치를 돈으로 측정하는 데 익숙해져버렸고, 자연히 값싼 인간들은 소외되고 말았다. 이 책에 실린 약자들의 이야기는 그렇게 기득권층으로부터 그다지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사람으로 치부되는 이들의 삶이다.

 

     물론 책에 실린 내용이나 논조에 100% 동감하는 건 아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보호관찰법이 전과자들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이해할 수도 있으나, 재범률이 결코 낮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그들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 자체를 문제시할 수는 없지 않을까. 물론 그 대상을 정하는 방식이나 방법상의 개선은 꼭 필요하겠지만 말이다. 술 먹고 미성년자를 성폭행해도 고작 2, 3년 살고 나오는 너그러운 판결을 내리는 한심한 법관들의 인식이 더 큰 문제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에서 비춰주고 있는 부분들은 더 이상 음지에만 두어서는 안 되는, 우리의 동료 인간들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기득권자들의 입장에서는 딱히 보고 싶지도, 인정하고 싶지도 않은 부분이겠지만. G20 의장국이네, (사전에도 없어 한글 문서에 빨간 줄이 죽 그어지는) ‘국격’이 상승했네 하는 헛소리들만 남발하면서 복지에 대해 얘기할라치면 당장 나라가 망할 것처럼 겁을 주는 이 땅의 자칭 지도자들을 보고 있노라면, 앞으로 20년이 지나도 여기에 실려 있는 사람들의 처지는 그다지 나아지지 않을 것 같다는 우울한 예감이 저절로 든다.

 

     시와 소설들을 쓰고 있는 현직 작가들이 인터뷰를 하고 글을 써서 그런지 생생하다. 인권을 다룬 딱딱한 이론서들이나 보고문과는 다른 맛이 있다. 무거운 내용이지만 이렇게 읽을 만하게 쓰니 좋다. 인권 문제에 접근하는 게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좋은 참고서가 될 것 같은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