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디컬 - 복음을 통한 철저한 돌이킴
데이비드 플랫 지음, 최종훈 옮김 / 두란노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예수를 믿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다시 묻는 책. 저자는 성경이 묘사하고 있는 역동적이며 확신으로 가득 찬 교회의 모습과 오늘날 ‘일반적인’ 교회들의 상황을 반복적으로 대조하면서 문제가 무엇인지를 짚어낸다.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의 말씀을 따라가는 것을 부담스럽게 여기면서 자연스럽게 유리되어 버렸다는 것. 이와 더불어 저자는 성경대로 신앙생활을 할 때 어떤 실제적인 변화들이 나타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결단을 촉구한다.

 

 

2. 감상평 。。。。。。。                  

 

     래디컬(Radical), 사전적 의미는 크게 둘로 나뉜다. ‘근본적인’, ‘기본적인’이라는 뿌리에 관한 뜻과 ‘급진적인’, ‘과격한’이라는 맹렬함을 표현하는 뜻이다. 저자가 책의 제목을 붙이면서 어떤 것을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는데, 두 가지 뜻이 의미하는 바는 조금 다른 느낌이다. 만약 누군가가 이 책의 내용을 ‘기본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면 그와 그가 속한 교회 공동체는 아직 건강한 상태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 책을 읽고 ‘급진적이고 과격한’ 내용이라고 생각했다면 그만큼 중한 병에 걸려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성경이 말하는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를 급진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정도로 멀리 떠나왔다는 뜻일 테니까.

 

     원래 예수님은 사람들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든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그 분 안에 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그러니까 그분을 아직 완전히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을 괴롭힌다. 끊임없이 그들의 잘못된 삶의 방향을 지적하고, 감추고 싶은 것들을 드러내며, 자연스러운 몸의 경향을 거스를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 책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아마도 저자가 그분의 가르침을 제대로 담아내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이다. 좋은 책이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급진주의자가 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모든 그리스도인은 기본을 바로 알고 그에 충실한 신자가 되어야 한다. 세상이 세워 놓은 기준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는 그들을 따라가지 못해 안달하는 것 같은 오늘날 일부 교회들의 모습과 이를 조장하는 싸구려 서적들이 판을 치는 이즈음 꼭 필요한 책이 잘 나왔다. 모 인터넷 서점에 『내려놓음』과 『긍정의 힘』이 기독교 신앙생활 분야의 최고의 책으로 나란히 광고될 정도로(서점 측이야 잘 팔리는 책을 그렇게 배열했을 테니) 극심한 이 나라의 영적 혼미함을 보노라니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언뜻 소개하듯 무명의 담임목사가 쓴 책은 아니다. 신학교에서 교수사역을 했을 정도로 충분히 읽고 쓰기에 훈련이 되어 있는 저자는, 되도록 어렵지 않은 문장으로 하고 싶은 말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내용 자체가 어려운 게 아니라, 내용을 받아들이기가 더 어렵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