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라베
감독 플로리안 갈렌베르거
출연 울리히 터커, 다니엘 브뢸
내별점 (8/10)
한줄평 중국판 쉰들러 리스트
1. 줄거리 。。。。。。。
1930년대 일본의 아시아 침략이 노골화되고 있을 시기, 한 때 아시아의 맹주였던 중국은 속수무책으로 일본군에게 병합되고 있었다. 최소한의 국제법이나 인권에 대한 인정 따위는 애초부터 머릿속에 넣지 않았던 일본군의 만행은 수많은 아시아인들을 비참한 죽음으로 몰아갔는데, 가장 큰 만행 중 하나가 난징에서 벌어졌다.
독일 출신으로 난징에서 기업을 운영하던 존 라베는 속절없이 죽어가는 중국인들을 구하기 위해 안전구역을 만들었고, 모든 힘을 다해 사람들을 지켜나간다.

2. 감상평 。。。。。。。
전쟁은 악이다. 목적을 위해 힘을 동원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기본 전제부터가 틀려먹었다. 당장이야 젊고 힘이 있으니 그런 식으로 나올 수 있겠지만, 늙고 노쇠해진 후에 똑같은 식으로 당해보면 자기들이 얼마나 멍청한 소리를 했는지 알게 될 것이다. 그런데 전쟁은 단지 여기에서만 그치는 게 아니라, 거기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신마저 혼탁하게 만들어 파생적인 악을 낳는다. 누가 더 빨리 100명의 목을 벨 수 있는지를 경쟁하는 미친 일본군 장교들의 모습은 그저 하나의 예일 뿐이다.
문제는 어느 시대나 정신을 못 차리는 놈들이 많다는 것이다. 여전히 자신들이 일으킨 전쟁의 죄악을 인정하지 않고 도리어 무슨 큰 혜택이나 준 양 떠드는 일본인들(그리고 여기에 동조하는 몇몇 어용 지식인들)을 보면 미치는 모양도 참 가지가지다 싶다(물론 소수의 정상인들도 있다). 이 영화는 그런 광란과 그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을 주제로 삼고 있다. 바른 영화다.

고통 받는 사람들을 보면 마음속에 측은지심이 생기는 게 인지상정이다. 다만 그 마음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사람은 적다. 일단 내게 손해가 되지는 않더라도 딱히 이득이 될 게 없다고 생각하니까. 이 영화의 주인공 존 라베는 그런 면에서 보면 참 용기 있는 사람이다. 용기란 종종 안주(安住)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 이런 용기 있는 사람을 길어내는 게 교육의 주요 목적 중 하나여야 하는데, 특히 요 몇 해 우리 사회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그냥 개인의 영달을 위해 살면 그만이라는 비겁한 사람들만 키워내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
인터넷으로 영화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던 중, 난징 학살에 관한 일본군의 입장도 이해해야 한다는 식의 글을 읽었다. 초반 전쟁에서 승승장구 하다 상해에서 크게 패한 일본군은 잔뜩 독이 올라 있었고, 결사항전을 선언한 난징에 강한 보복을 가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또 군인을 둘 수 없게 되어 있던 안전구역에 수백 명의 패잔병들을 숨겨준 행위는 일본군의 호의를 위반한 일이라는 식의 내용이었는데.. 길을 가는 데 깡패가 나타나서 돈을 뺏는 과정에 호의를 베풀어 차비 오천 원은 남겨주겠다고 했는데도 오만 원짜리를 숨겨뒀으니 맞아도 싸다는 논리인건지. 일단 침략을 하는 행위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그 후에는 아무리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더라도 문제가 사라지는 게 아니다. 이건 논리교육의 문제인지,윤리교육의 문제인지.

존 라베라는 실제 인물이 어땠는지는 모르겠다. 그에 대해 알게 된 건 이 영화가 처음이니까. 영화로 만들다 보면 어느 정도 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도 인정할 수 있다. 영화의 주제는 그가 얼마나 착한 사람이었는가가 아니라, 적은 사람들의 용기 있는 행동이 거대한 불의에 맞서 어떻게 사람들을 지켜냈는지이니까. 주제의 중요성을 생각한다면 꼭 한 번 봐야할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