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경험의 다양성 - 신의 존재에 관한 한 과학자의 견해 사이언스 클래식 16
칼 세이건 지음, 박중서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천체물리학자인 저자가 자신이 이해하는 과학과 종교의 공존에 관해 1985년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열린 기퍼드 강연의 강사로 나와 했던 강연을 책으로 엮었다. 광대한 우주 이야기로 시작한 저자는 그에 반해 인류와 인류가 살고 있는 지구가 얼마나 작은가에 관해 지적하면서, 우주가 마치 인류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고 말하는 종교에 관해 가볍게 빈정거리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어서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로서의 과학의 우월함을 한껏 추켜올린 다음 종교란 그저 인류의 오랜 경험이 제각각의 모양으로 정형화된 신념 체계일 뿐이라고 단정 짓는다. 당연히 그런 ‘종교’에는 여러 인습적인(그래서 이제는 버려야 하는) 요소들이 잔뜩 들어 있어 버려야 할 것들이 많다고 말하지만, 예의 바른 저자는 청중들의 기분을 맞춰주려는 건지, 그래도 다 버릴 필요까지는 없고 ‘어떤 부분’은 남겨 두어도 괜찮다는 입장을 취한다. 마지막 강연은 그 ‘어떤 부분’에 관한 내용인데, 인류가 자기 파괴적 행동 - 이를테면 핵전쟁 같은 -을 하지 않도록 자제시키는 데 종교가 일정부분 역할을 감당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생각하는 것 같다. 

 

 

 

2. 감상평 。。。。。。。               

 

     사실 자연신학이라는 것 자체가 과학에 대한 종교의 굴복, 혹은 예속을 전제하는 시도다. 세상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절대적인 통로로서의 과학이라는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하고 그것을 통해 세상(종교)을 재구성하겠다는 시도는, 잘 해야 과학의 호의에 기생하는 비자립적 종교를 만들어낼 뿐이다. 그런 자리에 칼 세이건 같은 강연자를 초청했으니 칼 자신은 꽤나 반색했을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가 이 강연(책)에서 전개하고 있는 모든 논리는 바로 그 자연신학의 표준에 가깝다.

 

     여느 물리학자들처럼 칼 세이건도 역시 가장 작은 세계부터 광대한 우주 전체까지를 단일한 논리로 설명해 낼 수 있는 ‘대통합이론’의 신봉자이다. ‘신의 존재에 관한 한 과학자의 견해’라는 부제로 살짝 장난을 치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그에게 있어서 신이란 그저 우주의 물리법칙의 총합이라는 견해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과학적으로 입증할 만한 증거가 없기 때문이라는 것. 언뜻 만약 신이 우주와 그 안의 모든 것을 창조했다는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와 같은 일신론 종교의 말이 옳다면, 그 신이 굳이 자신이 만든 세계의 질서에 의해 측정되고, 혹은 제한되어야 하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을까 싶지만, 이런 부분은 잘 인식되지 않는 것 같다.

 

 

     책 속에는 소위 유신 논증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시도들에 대해 저자가 하나씩 그 논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깨뜨리는 부분이 등장하는데, 사실 인간이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랜 시간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자 역시 비슷한 과학주의 논증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수십억 년의 시간이 흐르면 그저 당연하게 오늘날과 같은 다양한 생물과 인간, 문명들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태연하게 이야기하고 넘어간다거나, 막연히 현재의 과학으로 입증되지 못한 부분들도 언젠가는 완전히 설명될 것이 당연하다는 식이다.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설명되는 것만 의미를 갖는다는 생각은 이미 그 자체로 일종의 판단인데, 저자는 이것을 판단이 아닌 일종의 공리처럼 여기는 것 같다.

 

     물론 저자가 이 책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사이비 종교나, 외계인 괴담과 같은 것들을 모두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는 건 아니다.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우리는 늘 회의(懷疑)하고, 타당한지 과학적인 도구를 사용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데 동의한다. 하지만 과학은 우리 삶의 의미를 제시해주지 못한다는 것 또한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정말로 인류가 그저 우주의 한 부속품에 불과하다면, 굳이 인류의 존속을 위해 애써야 할 이유는 또 뭔가. 이런 마당에 책 뒤편에 ‘종교가 과학 앞에서 부끄러워 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는 어쭙잖은 제목을 붙인 옮긴이 후기가 좀 생뚱맞다.

 

 

     재미있는 부분은 이 책을 엮은 앤 드루얀이나 이 책의 추천자들 중 상당수가 칼 세이건을 상당히 ‘종교적인 인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종교’는 이 책이 말하는 그것(물리법칙의 총합)이라기보다는, 비난하는 그것(일종의 ‘신비’가 더해지고 존경이나 경의가 필요한)으로서 이다. 상당히 아이러니한 부분인데, 오늘날 ‘종교’라는 단어가 가진 색깔이 얼마나 옅어졌는지를 보여주는 부분이 아닐까 싶다.

 

     공교롭게도 그를 그렇게 칭송하는 이들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종교를 갖지 않은 사람들인데, 이건 마치 남이 와서 ‘너희는 지금까지 가족이 뭔지 제대로 모르고 있어. 사실 가족이란 건 이런 것인데, 이 사람도 너희 가족이야’라고 말하면서 모르는 아저씨를 삼촌이라고 부르라고 하는 식이다. 왜 어떤 사람이 우리 가족인지를 남에게 물어봐야 하는 걸까?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건 일본인들이 인정을 하고 말고는 상관없는 일인 것처럼, 어떤 사람이 종교인, 혹은 종교적인지는 종교에 속한 이들이 인정해야 하는 게 아닐까.

 

 

     자연신학이나 자유주의신학에 속한 사람들은 꽤나 호의적으로 볼 수 있겠다. 또, 자신들이 허용해주어야 종교가 살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적당한 우월감을 느끼고자 하는 과학주의자들도 좋아라 할지 모르겠다. 참, 오해하지 말자. 나는 저자를 비난하는 게 아니라(적어도 이 책에 나온 저자의 모습은 도킨스나 히친스와는 달리 상당히 신사적이다. 반대하더라도 예의는 지키는 게 맞는데, 요샌 이걸 이해 못 하는 사람들이 늘어간다.) 저자의 주장이 완벽한 것인가 묻고 있는 거니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ueyonder 2011-09-16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 카렌 암스트롱의 '신을 위한 변론'도 한 번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도킨스나 종교 근본주의의 시각이 아닌 또 다른 합리적인 종교에 대한 시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노란가방 2011-09-16 11:55   좋아요 0 | URL
네. 계획 중인 제주도 여행을 다녀온 뒤 꼭 읽어보겠습니다. ^^
아.. 찾아보니 오강남 교수님이 감수를 하셨네요?
제가 그분의 범신론을 딱히 좋아라 하지 않긴 합니다만..ㅎㅎ

2011-09-16 11: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노란가방 2011-09-16 12:26   좋아요 0 | URL
아 예... 그런 걸 알아내셨군요!! ^^;;
평점은 책이 제대로 만들어졌는지에 관한 거니까요.
동의를 하고, 하지 않고는 감상으로 남기면 되는거구요.
(물론 감상도 어느 정도 들어가긴 합니다만..ㅋ)
미니홈피에는 평점 7/10점을 줬는데 알라딘에선 표기방식이 달라 좀 깎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