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스 코드 - Source Code
영화
평점 :
현재상영


 

1. 줄거리 。。。。。。。                

     뇌에 남은 8분간의 잔상을 이용해 과거 어느 시점의 누군가의 의식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기술인 소스 코드. 러틀리지 박사는 이 기술을 이용해 콜터 대위를 열차폭파 사고가 일어나기 전 8분으로 보내 연쇄테러를 사전에 막으려고 한다. 콜터는 이미 전쟁에서 큰 상처를 입고 뇌신경의 일부만 남은 상태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것. 수차례의 시공간 여행을 통해 마침내 테러범을 찾아 낸 콜터는, 늘 자신의 앞에 앉아 있던 크리스티나를 구하기 위해 다시 한 번 소스코드 안으로 들어간다. 

 

 

2. 감상평 。。。。。。。                

 

     한 사람의 의식을 완벽히 다른 사람에게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의 존재라는 가정은 예로부터 여러 공상과학 소설과 영화의 소재였다. 이 영화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 그 시점 속의 인물에게도 이식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롭게 알아낸 정보로 다가올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것. 영화 속에서 콜터 대위는 과거로 돌아가 테러범의 정체를 밝혀내고, 연쇄테러를 막아낸다. 영화의 영상 자체는 그저 액션 추격물에 가까웠지만, 이런 상상력은 이 영화를 SF물로 바꾸어 놓는다.(인셉션이나 아바타에서와 같은 화려한 최첨단 영상기술까지는 아니다) 

 

     아쉬운 점은 기술에 대한 정확하지 못한 이해가 영화의 논리적 구조를 엉망으로 만들고 말았다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실제 콜트 대위는 부상으로 신체기능이 대부분 정지된 채 뇌기능의 일부만 남아 있는, 사실상 정신으로만 존재하는 인물이다. 소스코드는 그런 그의 의식에 새로운 정보를 주입해 일단 몸까지 갖춘 온전한 인간으로 재생시킨다. 여기까지는 ‘가상현실’로 소개하는 영화의 설명이 맞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렇게 재생된 콜터가 ‘과거’의 어떤 인물의 의식 속으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러틀리지 박사는 이를 ‘복잡한 양자역학적 기술’로 설명하면서 평행우주 이론을 언뜻 대입시키는 것 같다. 하지만 러틀리지 박사가 말한 대로 소스 코드가 평행우주 사이를 넘나들게 하는 프로그램이라면 영화의 감동적인 결말은 불가능하다. 콜터가 과거에 개입해 사건을 바꾸는 순간 새로운 평행우주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가 그 새로운 세계에서 아무리 문자 메시지를 보내도 원래의 세계에 있는 굿윈 대위가 그 메시지를 받을 리 만무하다.(평행우주이론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사토 가츠히코가 쓴『양자론이 뭐야?』나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 같은 책을 참고하기 바란다. 두 권 다 약간 머리가 아프긴 하지만 전문가가 아니라도 충분히 읽어낼 수 있다)여기에 러틀리지 박사가 콜터를 계속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저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 들어가 그 인물의 의식을 잠시 공유하는 것뿐이라고 말했어야 하는데, 괜히 쓸 데 없는 말을 덧붙여서 스토리 구조가 비틀렸다.

 

     그래도 스토리는 지루하지 않게 신속하게 전개된다. 마무리는 빠질 수 없는 애정라인으로 적절하게 맺어지고 있는데, 정작 다른 사람의 삶 속으로 들어간 콜터 대위가 제대로 적응할 수 있을지, 그리고 콜터로 의식이 완전히 바뀐 숀이라는 인물의 인생은 어떻게 되는 건지 하는 부분은 대충 얼버무려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특이한 소재로 흥미를 끄는 데는 성공했으나 세밀한 마무리는 좀 부족하다. 그러나 영화가 재미있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