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랑할까요?
박수웅 지음 / 두란노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그리스도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성과 결혼에 관한 지침서. 데이트와 성, 관계에 있어서 상처의 치유법, 그리고 결혼이라는 주제에 대해 쉽지만 깊이 있게 써 놓았다.  

 

 

 

2. 감상평 。。。。。。。               

 

     누군가 교회에 두고 간 것을 우연히 들고 읽게 되었다. 당연히 큰 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한 건 아니었는데, 책장을 넘길수록 괜찮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뜬 구름 잡는 식의 이야기가 아니라 많은 강연과 그에 이어지는 상담 경험을 통해, 2, 30대 청년들이 실제적으로 고민하고 있는 것들과 부딪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잘 알고 있다. 무엇에 대해 써야 할지를 정확히 안다면 그 책은 이미 절반은 성공한 것. 독자가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글솜씨를 가진 저자는 제기된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알기 쉽게 제시한다.

 

     물론 요즘엔 경제적 문제의 중요성이 상당히 대두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데이트와 연애, 결혼과 같은 주제들은 젊은이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중요도에 비해 이 부분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기관이나 인물들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예전에는 대가족 제도 안에서 충분히 보고 듣고 배울 수 있는 것들이었지만, 핵가족에 한 자녀가 일상적인 오늘날 가족제도 안에서 다른 이들이 하는 무엇을 보고 배운다는 것은 극히 어려워졌다. 여기에 가족이 포기한 교육의 기능을 독점적으로 행사하고 있는 학교는 ‘실용’이라는 정체불명의 가치관이 점령함으로써 각종 기술을 배우는 곳으로 전락해버렸으니 말이다. 텔레비전과 인터넷과 같은 대중매체들이 중요한 교육기능을 행사하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그것들은 철저하게 대중영합적인 속성을 지닐 수밖에 없으니 처음부터 제대로 된 교육을 할 리 만무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책은 대단히 훌륭한 조언을 담고 있다. 뻔한 내용들이 아니냐는 반론도 나올 수 있겠지만, 그런 뻔한 대답조차도 제대로 해 주지 못했던 것이 이제까지의 상황이었으니까. 물론 이 책이 충분히 깊이 있는 문제까지 다루고 있다고 할 수는 없지만(사실 그건 이 책의 당초 목표도 아니었고), 이 책을 디딤돌로 해서 주제에 관한 발전된 이야기들이 나오게 된다면 그걸로 족하다. 교회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올라온 청년들에게 이 정도의 책으로 성과 연애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면 딱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