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스터디 - 미국대학 교양교육 핵심과정과 한국에서의 인문학 공부안내
마크 C. 헨리 지음, 강유원 외 편역 / 라티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그러나 오늘날 핵심 커리큘럼은 

이러저러한 이유로 사라지거나 다른 과목으로 대체되었다. 

학생들은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렸다. 

4년 동안의 공부를 마치고 모든 요건을 이수해 손에 졸업장을 든다 해도 

많은 학생들이 당혹감과 불안감을 품은 채 대학을 떠난다.



 

 

1. 요약 。。。。。。。                    

 

     흔히 인문학이라고 통칭하는 문학, 역사, 철학, 그리고 신학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대략적인 설명과 함께 각각의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읽어보아야 할 추천/참고 도서들을 소개해 놓은 책이다. 원래는 미국의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제작된 것이라 소개되는 책들은 영어 원서들뿐이지만,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각 분야의 번역자들이 추천하는 국내도서들이 함께 실려 있다. 

 

 

 

2. 감상평 。。。。。。。                  

 

     사실 이런 책을 내는 게 쉽지 않다. 필연적으로 결과에 대해 이런저런 반론이 예상되기 때문인데, 이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워낙에 말이 많은 사람이기도 해서 그렇다.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일단 문제를 제기하고, 논쟁을 벌이며, 상대를 설득(공격)하거나 하는 것이 일상적이니 폭넓은 공감을 얻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이 책은 주로 고전 중심의 스터디 맵을 제시함으로써 이런 난관을 잘 넘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런 선택은 결과적으로 이 작고 얇은 책에 적당한 무게감을 더해준다.

 

     인문학의 위기는 교양의 위기이기도 하다. 실용학문도 물론 중요하지만 역시 모든 것을 기술로만 해결할 수는 없는 법이다. 여기저기서 말실수들이 늘어나는 이유는, 깊은 생각을 할 수 없게 된, 교양을 상실한 시대의 단면이다. 이게 단순히 말실수 같은 것에서 끝나면 다행이지만, 교양을 상실한 사고(思考)는 사회 전체에 그 자체로 사고(事故)를 초래한다.

 

     인문학이란 인류가 오랫동안 쌓아 온 지혜의 보고다.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든지 인문학을 익힌다는 것은 그가 하고 있는 일에 깊이를 더해줄 수 있다. 이 작은 책은 그러면 어디서부터 무엇을 공부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썩 괜찮은 도움을 준다. 당장 나도 읽어보지 못한 책들이 꽤 많으니 어서 한 권 들고 읽어나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