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킬 수 없는 - No doub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한 시골 마을에서 어느 날 아이가 사라진다. 아이를 찾아 생업까지 내팽개치고 돌아다니던 충식은, 우연히 자기 마을에 아동성범죄 전과를 가진 사람(세진)이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당연히 그를 의심하게 되었지만 경찰은 확실한 증거가 없다며 풀어준다. 하지만 이미 의심을 품은 충식은 세진을 범인으로 단정하고 쫓기 시작했고, 그 날부터 말 수도 적고 단추를 가장 위까지 채우고 다니던 단정한 청년은 온동네 사람들로부터 납치(혹은 살해)범으로 낙인찍힌다.

 

 

2. 감상평 。。。。。。。

 

     간만에 괜찮게 만든 심리 스릴러 영화를 보게 되었다. ‘의심’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소재를 가지고 영화를 이끌어 가는 감독의 연출력은 결코 녹녹치 않았다. 딸을 잃고 의심에 사로잡혀 날뛰는 충식 역의 김태우나, 자신에 대한 의심을 알면서도 어찌할 수 없이 침묵만을 지키는 세진 역의 이정진의 묘한 표정/내면 연기도 훌륭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88분이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상영 시간은 지나친 긴장감의 연속으로 피로감을 느낄 수도 있는 문제를 빗겨나가게 해 주었다. 

     영화는 우리가 가진 의심이 얼마나 파괴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물론 의심을 받을만한 전력을 가진 세진도 문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고 할 수도 있으나, 영화에선 세진 보다는 충식의 돌발행동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심이 쌓이면 불신이 되고, 불신이 커지면 적대심으로 변하는 법이다. 적대심은 곧 유무형의 충돌을 일으키고, 힘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때문에 불신풍조가 만연화 된 사회는 발전을 할 수가 없는 법이다. 자신의 작은 이익을 위해 편을 가르고, 상대를 불신하도록 만들었던 이 땅의 정치지도자들은 자신들 때문에 이 나라가 정체되고 있음을 아는 지 모르겠다.

 

     발전이란 높은 건물을 세우고, 간척지를 메우고, 흙길을 포장한다고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구성원들이 서로를 신뢰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좋은 것을 입고 먹더라도 그런 공동체에서는 만족이나 성취를 쉽게 경험할 수 없다. 공정한 사회, 정의로운 사회가 최근 부각되는 이유는 뒤늦게나마 사람들이 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좋은 징조일지도 모르겠다.
 



     영화의 반전은 결론부다. 충식의 딸을 죽인 범인이 어떤 이기적 목적을 가진 사람이었다면, 이 영화는 그저 그런 스릴러로 마칠 뻔 했으나, 감독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결론을 제시하면서 이야기의 비극성을 더한다. 탁월한 선택이었다.

     여러 가지로 괜찮은 영화지만, 제목이 아쉽다. ‘돌이킬 수 없는’이라는 미종결 문장은 뭔가 많은 것을 담으려고 한 것 같은 느낌을 주긴 하지만, 뭘 말하는 지 쉽게 알 수 없는 애매함도 담고 있다. 차라리 ‘낙인’처럼 좀 더 강하고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명한 제목을 지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