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사이드 - The Blind Sid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이제 쌀쌀해지기 시작하는 늦가을, 반팔 티만 입고 걸어가는 한 흑인 소년(마이클 오어)을 본 리 앤(산드라 블록)은 대뜸 그를 차에 실어 집으로 데려간다. 마이클의 딱한 사정을 들은 리는 그를 자기 집에서 살 수 있도록 배려해준다. 지능은 다른 사람들보다 낮지만 대신 보호본능만큼은 누구보다 강했던 마이클은 그런 리의 배려와 다른 식구들의 따뜻한 환대에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작한 풋볼(Football)에서 탁월한 실력을 보여주는 마이클. 하지만 모든 것은 순조롭게만 풀려가지는 않았다.

 


 

2. 감상평 。。。。。。。

 

     단순한 동정심이 아니라, 진정으로 자신을 열고 다른 이들을 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 철저하게 자신을 보호하고 좀처럼 열지 않으려고 하는 개인주의화 된 세상은 ‘무슨 바보 같은 짓이냐’고 힐난을 하겠지만, 여기 그것을 실제로 해 본 사람이 있다. 그리고 그 결말은 참 뿌듯하게도 해피엔딩이었다. 물론 세상일이란 게 영화처럼 항상 좋은 결말로 끝나는 것은 아니겠지만(버려진 아이를 길러준 부모의 재산을 노리고 청부살인을 교사한 패륜아에 관한 뉴스가 잊힐 만하면 한 번씩 나오는 걸 보면), 사실 생각해 보면 마음의 담을 쌓고 다른 사람들을 상관하지 않고 살아간다고 해서 늘 ‘성공’하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요컨대 그렇다면 관건은 마음가짐의 문제일 것이다. 열고 협력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닫고 빼앗으며 살아갈 것인가. 프랑스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이를 D.N.A.라는 독특한 이론(분열 Division, 중립 neutralite, 협력 association)으로 오랜 시간 고민하며 여러 작품을 통해 발표했는데, 흥미롭게도 그에 따르면 처음에는 D력이 우세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A력이 최종적인 승리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일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은 결국 다 함께 망할 것을 권하는 세상과 마찬가지라는 깨달음은, 인생을 진지하게 고민해 본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이르게 되는 결론인 것 같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이 영화는, 보는 동안 한 여름 더위 속에서도 기분 좋은 따뜻함을 느끼도록 만든다. 딱히 눈이 휘둥그레 해질 정도의 특수효과나 큰 규모의 인력이 동원된 것 같지는 않았지만(굳이 꼽자면 풋볼 경기의 관중 정도?), 그런 영화의 재미와는 또 다른 나름대로의 즐거움을 주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