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저씨 - The Man from Nowher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전당포 귀신이라고 불리는 차태식은 아픈 과거를 품은 채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아저씨다. 친구들로부터 쓰레기통이라고 불리는 소미는 누구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 자신에게 늘 툴툴대면서도 신경을 써주는 전당포의 아저씨를 의지하게 됐다. 그렇게 20년의 나이차가 나는 친구 관계는, 소미 엄마가 마약 조직에 연루되면서 깨져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하나밖에 없는 어린 친구를 구하기 위한 아저씨의 활약이 시작된다. 쭈욱. 

 
  


 

 

2. 감상평 。。。。。。。

 

     영화 상영 시간의 거의 절반 가까이를 찌르고, 자르고, 쑤시는 장면으로 도배한 이 지나치리만큼 단조로운 이야기 구조를 영화로 만들기 위해 감독은 여러 소재들을 가져다 붙인다. 일단 동네 아저씨와 어린 아이라는 묘한 관계 설정에, 상황 파악도 제대로 못하면서 무슨 게임 캐릭터처럼 아무런 고민 없이 사람들을 죽여 나가는 주인공에, 그를 쫓아다니지만 늘 뒷북만 치며 실제로 의미 있는 일은 전혀 하지 못하는 어설픈 형사들이 더해졌다. 하지만 이런 노력들은 딱히 극의 완성도를 높여주지는 못한 것 같고, 영화 홍보글에 등장하는 ‘이중의 추격’으로 인한 긴장감 따위는 당연히 없었다.

     영화는 시종일관 원빈에게만 의지하고 있었고, 이번 영화에서도 전작 마더처럼 딱히 많은 대사량을 소화하지 못하고 그저 처음부터 끝까지 폼만 잡는 것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원빈을 따라 영화도 과장된 총소리와 칼소리(?)로만 점철되어 있다. 액션은 그럭저럭 볼만 했지만, 여전히 주연으로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힘은 부족해 보인다. 소미 역의 김새론 역시 어린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썩 나쁘지 않은 정도였을 뿐, 극찬할 만한 연기라고 할 것까지도 없었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이 없다는 말이 딱 어울릴 영화.

     영화는 스릴러나 액션이라기보다는 그냥 쏘우 시리즈 같은 하드코어물로 보인다. 쉴 새 없이 썰고, 자르고, 쑤시는데 그 대상이 인간이라는 것이 썩 유쾌하지 않다. 감독이 영화 속 장기를 척출해 팔아넘기는 ‘통나무 장사’치들과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 영화 속의 과장된 칼질과 흩날리는 핏방울들은 실제보다 더 실제 같아 역겨울 정도다. 호쾌한 액션? 사람이 죽어가는 과정을 원색적으로 그리는 걸 보고 쾌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소리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딱히 볼 생각도 없지만), 최근 개봉한 ‘악마를 보았다’는 영화는 이 영화보다 더 하다는 소문이다. 그 영화의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영화가 미칠 사회적 파장들에 대해 묻는 기자에게 ‘새롭게 시도하는 것에 대해 지금은 사회가 돌연변이를 보듯 불편해하는 것 같다’며 자신은 ‘익숙한 것만 찾는 것’이 싫다는 식의 대답을 했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이 무슨 헛소리인지.. ‘새로운 것 = 좋은 것, 예술적인 것’이라는 얼토당토 하지 않는 공식을 들이밀고서는 ‘건강한 형태로 활발한 담론이 이뤄지는 것은 얼마든지 납득하지만 그 외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무지막지한 독선적 결론을 멋대로 짓는 모습을 보면, 예술가들이 점점 현실의 권력자를 닮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 전 목조르기 놀이라는 것이 아이들에게 유행해서 뉴스에도 나오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 아이들의 말의 따르면 그렇게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것이다. 어쩌면 오늘날 극단에 치우친 예술가들은 그런 목조르기 게임을 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인간 내부의 잔악성을 자극해 일종의 쾌락을 느끼도록 한다는 건데, 언젠가 그게 자기 목을 찌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도대체 안하는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