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8 - 위기와 극복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8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력자가 권력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그를 대신할 수 있는 인물이 없기 때문인 경우가 적지 않다. 

선발 투수가 힘이 빠졌는데도 마땅한 구원 투수가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계속 던지게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다. 

바꿔 말하면 마땅한 후계자를 구하지 못한 구인난 덕분에, 

기능 부조에 빠진 기존 지배층도 여전히 권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그 결과 공동체는 쇠퇴를 거듭한 끝에 결국 붕괴된다.

 

1. 요약 。。。。。。。

 

     네로 황제가 암살당하면서 시작된 1년간의 내전은 세 명의 황제들이 비명에 죽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1년 만에 세 명의 최고 권력자들이 죽어 나가는 상황이 벌어지자, 갈리아 지방에서는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갈리아 제국’을 수립하려는 움직임까지 일어난다. 혼란을 수습한 것은 당시 유대 전쟁을 지휘하던 베스파시아누스와 시리아 속주 총독이었던 무키아누스였다. 무키아누스의 지지로 황제가 된 베스파시아누스는 ‘건전한 상식인’답게, 수도의 정치적 혼란을 잠재우고, 재정을 확충하는 등 제국 전역에 평화를 가져온다.

     이후 그의 아들인 티투스와 도미티아누스가 차례로 이어 제위에 오르지만, 정확한 이유도 알 수 없이 도미티아누스가 암살을 당하면서 베스파시아누스의 플라비아누스 왕조도 고작 2대만에 막을 내리고 만다.

 



2. 감상평 。。。。。。。

 

     네로 사후 갈바와 오토, 비텔리우스라는 세 명의 황제가 잇따라 제위에 오른다. 제국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식견도, 능력도 없었던 이들이 제위에 오르면서 일어난 일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원한과 보복, 편 가르기와 국가적 혼란이었다. 그리고 이 기간 일반 시민들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은 점점 더해갔고, 제국 산하에 있던 이방 민족들은 로마에 대한 신뢰를 잃어가기 시작했다.

     제대로 된 지도자를 갖지 못한 민족의 불행이란 이런 것이다. 개개인이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고, 저력이 있어도, 또 눈에 띄는 성과를 만들어 낸다 해도 그것을 국가 전체 역량의 향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지도층들의 능력이다. 

  

 

     베스파시아누스의 치세가 이전의 황제들에 비해 꽤나 훌륭한 것이었음에도, 그가 의도했던 안정적인 제위 계승은 바로 그의 아들 대에서 무너지고 만다. 시오노 나나미에 따르면 딱히 많은 사람들을 사형으로 몰고 가거나 추방하지 않았음에도, 또 제국의 방위선을 공고하게 만들었음에도 도미티아누스는 암살로 생을 마감하고 말았다. 너무나 작은 이유, 혹은 편향된 관점으로도 얼마든지 황제는 살해당할 수 있었다.

     흔히 로마인들을 ‘법의 민족’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정작 자신의 수가 틀릴 경우에는 얼마든지 법으로 규정된 호민권 특권(신체불가침 특권)까지도 무시하면서 황제를 암살하고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새로운 황제를 추대하는 것도 같은 로마인이었다. 이것을 단지 일부 사람들의 문제로 돌릴 수 없는 이유는, 도미티아누스의 죽음에 대해 딱히 이의를 제기했던 사람이나 세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나나미는 황제란 원로원과 시민의 지지로 그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고 수도 없이 반복하지만, 적어도 이 시기 실제 역사 속에서 일어난 일들은 딱히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우구스투스도 그랬지만, 혈연에 의한 제위 계승원칙을 강하게 천명했던 황제들이 매 새로운 왕조마다 있었지만, 얼마 가지 못해 암살로 왕조가 문을 닫게 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시오노 나나미는 혈통으로 ‘권위’를 부여하려고 했다고 애써 변명하지만, 혈통이 항상 능력 있는 인물을 낳지 못하는 이상 이에 근거한 제위 계승 원칙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하겠다.

 

     잇따른 정권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로마라는 나라 자체는 크게 흔들림 없이 지속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정권의 성쇠와 국가의 성쇠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 이것은 로마 제국의 지배층에 대한 독특한 시선 때문은 아닐까 싶다. 동양의 경우 혈통에 의한 정권과 왕조의 계승이 곧 국가의 계승이라는 사상이 강했기에 한 가문에서 능력이 없는 인물들이 등장하면 금새 새로운 나라의 건국으로 이어졌지만, 로마의 경우 혈통이 달라지고, 정권이 바뀌어도 로마라는 국체는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기에 달랐던 것. 이런 차원에서 보면 ‘짐은 곧 국가’라는 식의 왕권신수설을 주장했던 천년 뒤의 유럽 사람들의 사고야말로 오히려 퇴보를 하고 만 것 같기도 하다. 물론, 어느 시대고 정권에 충성하는 것이 곧 국가에 충성하는 것이라는 식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지만, 그거야 말로 정말로 제멋대로가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