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의 꿈 - A Barefoot Dream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전직 축구 선수였던 원광은 운동을 접고 사업을 시작하지만, 하는 일마다 실패를 거듭한다. 동티모르라는 작은 나라에서 재건사업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 몫 잡을 수 있을 거라는 광고를 보고 도착하지만 결국 사기꾼에게 속았음을 깨닫게 된다. 모든 것을 포기하고 돌아갈까 하는 찰라, 내전으로 인해 모든 것이 무너진 상황에서도 맨발로 축구에 여념이 없는 아이들이 눈에 들어왔다.

     처음에는 그 아이들에게 축구화를 판매하는 가게를 차렸지만, 하루 먹고 살 돈도 충분치 못한 나라에서 처음부터 무리였다. 전략을 바꿔 하루에 1달러씩, 2개월간 할부로 축구화를 팔려고 했지만, 그것도 처음에만 잠깐이었고 아이들은 돈을 마련하지 못해 축구화를 반납한다.

     다시 한 번 사업을 접고 한국으로 돌아가려던 차, 그가 축구화를 마련해주며 잠시 가르쳤던 아이들이 몰려와 떠나지 말 것을 간청하자 아이들과 함께 끝을 보고 싶다는 결심을 한 원광. 그는 자신이 지도하는 아이들을 데리고 일본에서 열리는 유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여기에도 쉽지 않은 난관들이 있었는데..  


 

2. 감상평 。。。。。。。

 

     상영 시간만을 보고 보게 된 영화였지만 기대 이상이었다. 오랜 식민지 생활과 독립 직후 이어진 내전으로 인해 변변한 기반시설도 없이 말 그대로 맨발로 축구를 해야만 했던 아이들의 모습과 그런 아이들이 출전하는 경기 소식을 텔레비전도 없이 라디오 소리로 들으며 환호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작년 여름 개봉했던 영화 ‘국가대표’의 감동을 다시 느낄 수 있었다.

     동티모르라는, 익숙지 않은 나라에 도착해 현지에서 직접 아이들을 뽑아 영화를 제작했기에 물론 연기력이 A급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는 영화의 스토리 자체가 충분히 관객에게 호소하는 부분이 있었기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 듯 했다. 아쉬운 건 주연 배우인 박희순의 연기력인데, 사실 나는 이 배우가 출연한 영화들을 보면서 연기파 배우라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다. 이번 영화에도 특유의 어색한(이것도 현지의 아이들의 연기수준과 맞추려고 한 거라면 할 말이 없지만) 연기가 빛을 발했다(?). 





 

      미국을 비롯한 선개발국들이 퍼뜨린 신자유주의라는 경제체제는, 겉으로는 자유로운 경쟁체제를 옹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국가마다, 또 경제주체마다 발전되어 있는 정도가 다르므로, 이미 발전된 국가와 경제주체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체제다. 쉽게 말해 돈 있는 집 아이들은 고액 과외다 해외 연수다 해서 학원 한 번 제대로 갈 수 없는 가난한 집 아이들보다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는 말이다.

     스포츠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여서 어렸을 때부터 좋은 장비와 경기장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선수들이 뛰어난 기량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스포츠가 흥미로운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체로 분류되던 팀이나 선수가 강자를 꺾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는 의외성이다. 그리고 그럴 때 사람들은 통쾌함을 느낀다. 이 영화를 통해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도 그와 비슷할 것이다. 때문에 특별히 주인공을 대적하는 악당들이나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충격적인 소재들이 등장하지 않아도 극은 충분히 재미있다.

     흥미진진한 스포츠 영화로도, 또 어린 아이들의 자아실현을 그린 영화로도, 동티모르라는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또 하나의 이웃에 관한 소개를 담고 있는 영화로도 즐길 수 있는 괜찮은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