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이다 (반양장) - 노무현 자서전
노무현 지음, 유시민 정리,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엮음 / 돌베개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국세청과 검찰에게 당한 수모보다 더 아프고 슬픈 것은,

올바른 이상을 추구한 행위를 어리석은 짓으로 모욕하는 세태, 

그런 현실을 보는 것이다.

 

1. 요약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후 그가 직간접적으로 남긴 기록들과 그와 관련이 있었던 사람들의 증언을 토대로 완성된 평전이다. ‘자서전’이라는 이름을 전면에 내세우고, 서술 자체도 ‘나’를 주어로 사용해 이루어지긴 했으나, 본인이 직접 기록한 부분 이외의 내용들은 필연적으로 편집자의 ‘평가’가 들어가기 마련이니 어쩔 수 없다. 다만 노무현재단이나 유시민 씨 모두 가능하면 감정적인 평가를 넣지 않으려고 애를 썼기에, 과도한 미화나 영웅 만들기 시도는 보이지 않는다.

     책은 노 전 대통령의 힘겨웠던, 그리고 그 시대 소시민들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그런 일들로부터 시작해, 그가 정치에 입문하면서 꾸었던 꿈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마침내 그 꿈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자리에 오른 후 그가 느꼈던 것들에 대한 소회 등이 차분한 어조로 기록하고 있다. ‘대통령 노무현’에 대한 인간적 이야기라고 할까. 

 

 

2. 감상평 。。。。。。。

 

     분명 그는 원칙주의자라는 이름을 붙이기엔 모자랄지 모른다. 우리들 모두가 그랬듯, 그도 때에 따라 타협도 했고, 소신을 굽히기도 했다. 그는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상주의자는 아니었다. 이런 면에서 엄격한 도덕적 율법주의자들은 그를 비난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는 그런 타협의 가운데서도 ‘원칙’을 버리지는 않았다. 때문에 다른 어떤 비난을 가하더라도 그에게 ‘기회주의자’라는 말은 가당치 않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었지만, 그의 삶을 되짚어 보면 시종일관 권력을 부당한 방식으로 이용해 자신들의 잇속을 챙기는 사람들에 대항해 그 반대편에 선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리라. 


     안타까운 것은 시민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려 노력했던 그의 태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지해주지 못한 현실이다. 시오노 나나미가 말한 대로, 손에 쥔 것들을 놓지 않으려는 사람들은 그를 끊임없이 비난했고, 손에 쥔 것이 없는 사람들은 그가 하려던 일이 어떻게 자신들에게 이익이 될 지를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외롭게 스스로 목숨을 끊고, 새로운 정부가 시민들을 통제하고 짓누르는 것을 경험한 후에야 그가 꿈꾸었던 것이 어떤 세상이었는지 어슴푸레 느끼게 되었지만... 언제나처럼 한 박자 늦은 각성이었다.

 

     책 전반에 회한과 후회, 자책이 깊게 묻어난다. 아마도 이 책이 정치인 노무현의 오랜 실패와 좌절, 그리고 잠깐의 성공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리라. 여기에 자신의 지지자들에 대한 미안함과 퇴임 직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몇 개월 동안 겪어야 했던 일들에 대한 분노가 더해지면서 책의 분위기는 마치 짙은 잿빛구름처럼 무겁고, 어두워진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철저하게 혼자가 됨으로써 모두와 함께 할 수 있게 되었다. 그의 떠남은 아쉽지만, 그가 남긴 유산들은 분명 혁명을 경험해 보지 못한 이 나라의 민주주의에 분명 좋은 자양분이 될 것이다. 특별히 국가권력과 시민 사이의 적절한 관계형성에 있어서 그는 중요한 발자국을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