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 법학자 김두식이 바라본 교회 속 세상 풍경
김두식 지음 / 홍성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교회의 개혁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한국의 많은 교회에서 

교인들이 목회자를 ‘참아 주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1. 요약 。。。。。。。


     저자는 ‘평생을 기독교인으로 살아온 자신이 그동안 교회 때문에 느낀 슬픔, 절망 그리고 희망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고백한다.(6) 1장부터 3장까지는 세상과 전혀 다르지 않은 교회의 현실을 지적하며 이를 ‘교회 속의 세상’이라는 표현으로 정의한다. 이런 현상을 발생시킨 것은 기독교를 공인한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라고 지적하는 저자는(4장) 국가에 의해 교회가 인정을 받게 되면서 너무 많은 것을 내어준 결과, 세상 속에서 교회의 독특성을 드러내야 함에도 반대로 교회 안에 세상이 들어와 버렸다는 것. 그 결과 중세 말 종교개혁의 시기에 이르러서는 교회 문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극도로 심해졌고 30년 전쟁이라는 극심한 혼란이 일어나게 되었다고도 지적한다.(5장)
 

     6장부터는 그러면 ‘대안’은 어떤 것인지를 모색하기 시작한다. 놀랍게도 저자는 그 시작을 중세에 등장했던 ‘이단들’에서 찾기 시작하는데, 사실 그들이 주장했던 것들은 성경에 좀 더 가까운 주장들이었으며, 이는 위클리프나 후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약자를 품을 수 있는 교회(7장), 그로 인해 진정한 샬롬이 이루어지는 교회(8장)가 되어야 한다고 천명한 저자는, 더 이상 개혁을 미루어서는 안 된다는 간곡한 부탁(9장)으로 글을 마친다.



2. 감상평 。。。。。。。

 

     이런 책의 서평을 쓰는 것은 좀처럼 쉽지 않다. 저자의 뜻에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나도 저자와 마찬가지로 그 비판받는 공동체의 한 일원이기 때문이리라. 나아가 책이 지적하는 내용들이 아예 사실과 거리가 먼 것도 아니기에, 단지 내가 한 잘못은 아니지 않느냐는 식의 간단한 반박도 통하지 않는다. 책을 쓴 저자도 많은 고민과 아픔을 안고 썼겠지만,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쓰는 것도 그 못지않게 힘든 일이다.

  

     저자가 오랫동안 보고, 듣고, 느낀 것은 사실과 다르지 않다. 이미 오래 전부터 한국 교회는 여러 가지 내장질환을 앓고 있었고, 결국 그 질병이 겉으로 드러나기에 이르렀다는 데에는 교회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적 감정을 가진 사람들 모두가 어느 정도 인정하는 바이다. 문제는 그 원인을 어디에서 찾느냐이다. 어떤 사람은 이를 교회 자체에서 기인하는 문제로 보고, 또 다른 사람은 외부적 상황을 좀 더 중요한 요인으로 본다.

 

     이 책에서 저자는 후자를 좀 더 주도적인 원인으로 진단하면서, 그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교회의 잘못을 함께 지적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진행한다.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공인은 박해받던 교회에게는 한숨을 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지만, 결국 국가에 의한 교회 개입이라는 좋지 않은 전례를 남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세상이 교회 속으로 들어오면서 교회의 본질이 흐려지기 시작한 것이 모든 것의 원인이라는 진단.

 

     기본적으로 문제의 구조에 대한 저자의 진단에는 나도 동의한다. 하지만 저자의 훑어 나가는 역사에 대한 약간의 보충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자는 매우 단선적으로 교회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그 중심에는 ‘주류는 언제나 잘못이 많고, 비주류는 선하다’라는 일종의 선입관이 있는 것 같다. 콘스탄티누스는 문제의 원인이고, 카타리나 왈도는 선한가? 어쩌면 ‘주류’라는 것은 그것이 더 지속적인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기 때문에 더 많은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아닐까? 카타리나 왈도파가 끝까지 남았다면 거기에는 아무런 모순이 없었을까? 분파는 교단을 형성하고, 교단은 기득권을 만들며, 기득권은 다시 분파를 낳는다는 교회사가들의 말은 좀 더 깊이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교회가 왜 그래’라는 비난은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비난의 대상과 원인을 적절히 잡아내서 하는 비난은 많지 않다. 기껏해야 기독교인 중 누가 하는 짓을 보니 기독교는 나쁘다는 식의 일차원적 비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물론 그런 비난과 지적일지라도 잘못된 것이라면 귀를 열고 들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문제에 대한 지적의 깊이가 얕고 어설프면 그 해결책이 제대로 나올 리 없다. 우리나라 범죄자들의 99%가 쌀밥을 먹었다고 해서 쌀밥이 범죄를 일으키는 건 아니지 않은가.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세상에 드러내는 모임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회가 곧 하나님 나라는 아니다. 우리가 교회 문제를 생각할 때는 이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전자는 교회에 대한 대책 없는 비난을 자제케 해 주고, 후자는 교회에 대한 무조건적 옹호로부터 깨어나게 해 준다.

     이 책은 나름대로 문제에 대한 진지하면서 애정 어린 지적을 시도하고 있다. 저자가 제시한 대안적 교회 모델도 나름 흥미로운 ‘실험’이 될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저자 역시 느끼고 있듯 그러한 실험을 어느 정도까지 밀고 나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헌법의 풍경』에서 받았던 저자에 대한 인상은 다루고 있는 분야는 다르지만 이 책에서도 꽤나 짙게 느껴진다. 역시나 꼭 한 번은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