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7 - 악명높은 황제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7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자기가 주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게 해주기만 하면 그것으로 만족하고,

그 주권을 행사하는 데에는 사실상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결과가 나쁘게 나왔을 때만 큰 소리로 불평할 뿐이다.

 

1. 요약 。。。。。。。

      ‘악명 높은 황제들’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로마인 이야기의 일곱 번째 책. 아우구스투스를 이어 로마의 최고 통치자가 된 네 명의 황제에 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귀족 정신의 소유자로 황제라는 무거운 짐을 홀로 지고 갔던 티베리우스는 대중의 인기에 영합한 정책들 대신 제국을 건실하게 만드는 데 주력을 한다. 그의 정책은 이후의 혼란에도 제국이 버텨낼 수 있도록 해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사람들은 옳고 그름 보다는 무시당하거나 소외됐다는 느낌에 좀 더 좌우되는 존재였다.

     통치자로서의 능력이 없이 그저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한 선심성 정책과 사업들만 남발했던 칼리굴라의 짧은 치세는 로마의 재정과 대외적 영향력에 큰 마이너스였지만 짧은 시간이었기에 그럭저럭 버텨낼 수 있었고, 이어서 등극한 클라우디우스의 견실한 재정운영으로 어느 정도 회복을 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우유부단한 성격에 아내에게 휘둘리기 일쑤였던 그는 미심쩍은 죽음을 맞게 되고, 유명한 네로가 황제에 오른다.

     통치보다는 다른 것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던 이 젊은이는 국가 전체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판단력을 가지지 못했고, 한 사람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된 체제에서 이는 큰 결점이었다. 몇 차례의 반복적인 정치적 실책은 그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사그라지게 만들었고, 이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황제는 암살로 삶을 마감하게 된다. 

 

2. 감상평 。。。。。。。

     이 시기 로마 제국의 상황과 관련해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지도층들의 전반적인 통치 능력 저하였다. 책의 제목은 ‘악명 높은 황제들’이지만, 사실 진짜로 ‘악명 높은’ 것은 원로원 의원들의 질적 저하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티베리우스야 그 혼자서도 제국을 짊어지고 나갈 수 있는 능력과 책임감이 있는 인물이니 넘어가더라도, 칼리굴라나 클라우디우스, 네로의 시대에는 원로원 의원들이 마음만 먹었다면 충분히 국가 운영에 힘을 쓸 수 있었는데도 그렇게 하지 못했다.

     어쩌면 옥타비아누스 이후 권력의 정점에서 배제되었기 때문에 원로원 의원들에게 있어서 국정운영에 대한 의지와 능력이 사라져버린 것인지도 모른다. 원로원 회의에 참여해도 사실상 황제가 모두 결정해 놓은 안건에 거수기 역할 밖에 할 수 없는 상황에서 누가 의욕을 가질 수 있을까. 더구나 확장 후 안정기로 접어들고 있었던 로마 제국의 전역에서 안정적인 수입을 얻게 된 그들이었다. 등 따숩고 배부른데도 뭔가를 열심히 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소수인 법이다. 요컨대 카이사르가 설계하고 옥타비아누스가 기정사실화 시킨 일인집중 권력구조는 발 빠른 정책 결정을 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었을지 모르지만, 지배층의 전반적인 의욕저하와 그에 이어지는 능력의 저하까지 초래한 원인(遠因) 중 하나가 된 것은 아닐까. 인간은 책임감을 갖고 실제로 일에 뛰어들어보아야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닌가.

 

     ‘집착’은 하나에 집중하는 태도이다. 자연히 주변부의 것들은 보이지 않게 되고, 무리수를 두게 된다. 옥타비아누스의 혈연에 대해 당대의 사람들에 비해 이례적일 정도의 집착은 시오노 나나미가 지적했던 것처럼 이제 막 시작된 제정으로의 전환을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실력에 의한 제위 계승이 꼭 유혈투쟁을 초래한다고만 볼 수도 없다. 어쨌든 호선(互選)에 의해 최고통치자를 뽑았던 전통이 있는 나라니까.

     그리고 현실에서는 혈연에 의한 제위 계승 원칙은, 통치자가 되지 못한 ‘황족’들에게는 피를 타고 났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생명의 위협을 느끼도록 만드는 위험요소가 된다. 나아가 능력도 없는 이들이 단지 피를 타고 났다는 이유로 제위에 도전할 수 있다는 헛된 희망을 품게 만들어 불필요한 희생을 초래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옥타비아누스가 완성해 낸 새로운 체제는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다고밖에 평가할 수 없다. 물론 인간사 100%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는 일은 많지 않고, 그렇기에 끊임없는 개선과 수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 사실이니까 그 자체가 큰 문제라고는 할 수 없다. 더구나 발 빠르게 적응하는 것이야말로 로마의 진정한 능력이니 말이다. 문제는 절반의 성공조차 이룰 수 없는 무능력자들이 최고권력자가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