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는 재투성이다 - 발도르프 선생님이 들려주는 진짜 독일 동화 이야기 2
이양호 지음 / 글숲산책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1. 요약 。。。。。。。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신데렐라’는 아마도 오랫동안 민간에서 구전되어 오던 이야기를 누군가가(그림 형제 또는 샤를 페로?) 글로 옮겨 적은 이야기일 것이다. 그렇다면 당연히 그 이야기를 오랫동안 전수하던 나라(독일)의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전통이 담겨 있을 터. 이 책은 신데렐라라는 옛날이야기 속에 담겨 있는 그런 단서들을 토대로 ‘옛날’ 사람들이 이야기에 담아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가려는 시도다.

 

2. 감상평 。。。。。。。

 

     원래는 ‘재투성이’라는 뜻의 제목을 ‘신데렐라’라고 번역한 것은 고의적인 오역이라는 도발적인 주장이 흥미로워보였다. 어떤 이야기를 읽기 위해서는 그 이야기가 만들어질 당시의 여러 정황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데 깊이 공감을 하고 있었기에, 이 책은 ‘신데렐라’라는 동화를 통해 그것을 만들었을 고대, 혹은 중세의 독일 사람들의 일상사를 명쾌하게 분석해 줄 수 있을 거라고도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난 뒤 가장 먼저 든 소감은 ‘좀 과하다’는 느낌이었다.

 

     저자는 ‘재투성이’ 이야기에 대한 지나친 주해, 혹은 주석을 시도하고 있다. 과도한 상징주의적 해석 방식을 취한 나머지, 이야기에 등장하는 작은 단어 하나도 놓치지 않고 거기에 만물을 담으려고 한다. 물론, 이야기 속 단서를 흘려보내지 않는 것은 사실을 밝혀내고자 하는 수사관이라면 반드시 가져야 할 자질이다. 하지만 그러한 ‘단서들’은 일반적으로도 인정되는 나머지 정황들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적어도 독일에서 전해지는 옛날이야기라면 독일의 역사나 문화사에 관한 연구가 고대 중국이나 아메리카의 그것보다 더 많은 연관을 맺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충분한 연구 없이(혹은 연구를 했는지도 모르지만 최소한 설명은 부족하다) 바로 선문답이나 동양고전, 혹은 한국 현대시를 인용하며 근거로 제시한다. 이래서는 내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에게 이야기를 할 때는 몰라도 대중을 상대로 말할 때는 충분히 설득하기 어렵지 않을까.

     비슷한 이야기는 모조리 연관된 것으로 이해하고 그렇게 독자를 끌고 가려는 태도(사실은 그다지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데 억지로 계통을 세우려는 것처럼 느껴진다)도 썩 만족스럽지 않다. 예컨대 독일 이야기와 고대 이집트 설화가 마치 직접적인 영향 아래 있는 것처럼 연결시키려는 부분(141)과 같은 비약이 자주 발견된다. 진화심리학 이론에 근거한 이야기 해석방식으로 보이는데, 글쎄 숟가락과 삽을 인용해 놓고 전자가 후자로 발전되었다고 대뜸 주장하는 것은 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저자는 ‘재투성이’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에게 일종의 준거적 틀을 제시하고자 애쓴다. ‘여기에 이렇게 언급된 것은 사실 이런 뜻인데, 그러니 너희도 이렇게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는 식이다. 여기서 당연히 나올 수 있는 질문은, 왜 그 옛날이야기에 나오는 교훈(사실 정말로 그 이야기에서 나온 것인지도 미심쩍지만. 재투성이가 좋은 옷으로 변하는 데에서 음양의 원리를 읽어내려는 식의 접근은 아무리 봐도 쉽게 인정하기 어렵다)을 따라야 하는가 라는 것이다. 그저 오래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혹은 옛 사람들의 지혜는 무조건 좋으니까?

 

     옛 이야기에 담긴 ‘사실’을 파악해 현대의 사람들에게 적용시켜보려는 시도는 매력적이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부실하거나 충분히 체계적이지 않으면 헐거운 나사에 고정된 책장처럼 툭 건드리기만 해도 떨어질 수 있다. 책을 보면서 난 ‘온전한 모습의 신데렐라’를 도무지 만날 수 없었고, 대신 저자가 그리고 있는 이상적인 인간상만 만날 수 있었을 뿐이었다. 그런 거라면 좀 다른 책을 써야 하는 게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