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 Black
영화
평점 :
상영종료


1. 줄거리 。。。。。。。

 

     태어난 지 두 살만에 시력과 청력을 상실한 미셸은 누구도 손 댈 수 없는 폭군으로 변해간다.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자 아버지에 의해 요양원으로 보내질 찰라, 어머니는 미셸과 같은 아이를 전담해 가르치는 선생님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사하이 선생님을 초청한다. 어둠 속에 혼자 남아 어쩔 줄 모르고 있었던 미셸에게 사하이 선생님은 빛을 던져 주지만, 그와 반비례 하듯 사하이 선생 자신은 망각이라는 어둠 속으로 미끄러지듯 들어가고 있었다.

 

 

 

  

2. 감상평 。。。。。。。

 

     아마도 처음으로 본 인도영화가 아니었나 싶다. 기대했던 것 이상의 감동을 주는 영화였고, 연기자들의 연기력도 크게 흠잡을 만한 데가 없었다.

 

     영화는 헬렌 켈러를 떠올리도록 만드는 주인공 소녀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볼 수 없고 들을 수 없다는 것은 외부세계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했고, 그렇게 고립된 소녀는 자신이 누구인지, 이 세상이 어떤 곳인지,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를 모르고 있었다. 그런 그녀에게 희망을 준 것은 외부 세계의 통역자인 사하이 선생님의 메시지였다. 미셸의 내부에 질서가 잡히기 시작한 것이다.

     비약일지도 모르지만, 오늘날 사람들의 상황이 꼭 그와 같지 않느냐는 생각이 든다. 자신이 누구인지 진지하게 성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이 세상에 대해서, 자신의 삶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없다. 그저 내 앞에 있는 것을 집고, 먹고, 던지고, 소리 지르고, 때리는 것만을 능사로 삼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가면 갈수록 묻지 마 식의 범죄와 반인륜적 사건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 또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어 버린 사람들의 보여줄 수 있는 최종 단계가 아닌가 싶다. 

 

     생각해 보면 이런 모습은 사람들이 이 우주를 ‘닫힌 세계’로 규정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이미 예상된 것이었다. 자연 세계 외부의 어떠한 존재도, 힘도 인정하지 않고, 오직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만이 사실이라고 가르치고 배워온 사람들에게 또 무엇을 바랄 것인가. 오늘날 인류는 철저하게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독방에 갇혀 있다. 그리고 이들이 생각해 낼 수 있는 것의 파괴적인 결과는 오늘 우리가 보고 있는 딱 그대로다.  

 

      초등학교에 다니던 어느 날 학원에서 문제 하나를 풀다가 막혀 끙끙댄 적이 있었다. ‘□’라는(이게 중학교로 들어가면 x라는 기호로 바뀐다) 당시에는 획기적인 기호를 사용해야만 풀 수 있는 문제였는데, 이를 알 리 없는 나로서는 도무지 해결할 수 없었다. 옆에 있는 선생님에게 물어보면 ‘□’라는 기호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셨을 테지만 적잖은 고집을 가지고 있었던 나는 끝까지 혼자 풀어 보려다가 결국 포기하고 울어버렸던 기억이 난다. 내가 다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그 작지 않은 오만함이 결국 모든 것을 그르쳐버렸다.  

 

      영화 속 대사 중 하나인 ‘우리는 모두 신 앞에서는 시각장애인’이라는 말이 와 닿는다. 현대인들은 두려워하고 있다. 외부의 도움의 필요성을 인정한다고 해서 나의 존엄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닌데도 말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도 미셸처럼 사하이 선생님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