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IVP 모던 클래식스 3
니콜라스 월터스토프 지음, 홍병룡 옮김 / IVP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도 특권을 유지하는 동시에 안전을 확보할 수는 없는 법이다. 

진정한 안보에 이르는 길은 정의다.

 

1. 요약 。。。。。。。 

 

     저자는 오랫동안 인간 존재에 많은 영향을 끼친 ‘종교’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한다. 회피적 종교와 형성적 종교가 그것. 특별히 기독교 안에서도 이 두 흐름이 발견되는데, 중세 기독교와 종교개혁 이후의 루터교 일파는 큰 차이가 있긴 하지만 여전히 회피적(내세 지향적) 종교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칼뱅주의로 대변되는 개혁주의자들은 세계 형성적 종교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자신들이 하나님의 도구가 되어 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일을 하고자 한다. 저자는 개혁주의자의 후예로서 현대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에 관해 논하고 있다.

     저자가 보기에 현대 세계는 빈부격차의 문제, 근시안적 민족주의로 인한 문제, 도시환경에 있어서의 무질서 등 불의와 억압으로 가득 차 있다. 강대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저개발 국가들을 ‘주변국가화’ 시키고 있고, 강자들은 약자들을 착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실한 그리스도인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저자는 ‘샬롬 중심적 세계관’을 그 대답으로 제안한다.

     하지만 저자는 여기에서 그리스도인 개혁자와 비 그리스도인 개혁자의 차이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다시 던진다. 둘 모두 사회의 ‘개선’ 혹은 ‘선의의 발전’을 위해 일한다면, 그리스도인의 독특함은 무엇인가? 저자는 그 독특함을 예배에서 찾는다. 단순한 예전이나 교회 밖의 삶을 위한 주유소쯤의 예배가 아니라 하나님의 신성함을 접촉하고, 그분으로부터 기쁨과 안식을 얻을 때 정의와 샬롬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2. 감상평 。。。。。。。

 

     우리나라처럼 좌우의 갈등이 첨예한 나라도 많지 않으리라. 슬프게도 기독교 안에도 이러한 갈등 혹은 구분이 존재한다. 사회의 구조적 병폐를 조금이라도 비판할라치면 단숨에 좌파니 뭐니 하는 비난을 해대고, 하나님의 주권이나 영혼구원을 강조할라치면 보수니 우파니 하며 단정 짓는다. 인간 영혼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면서, 사회에 대한 책임과 개혁을 말하려는 시도는 어디에도 어울리지 않는 주변인 취급을 받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런 미심쩍은 비난과 지적을 단숨에 뒤집어버릴 수 있는 철학적, 신학적 근거를 제시해주고 있다. 저자는 소위 보수 쪽에 속하는 개혁주의 혹은 칼뱅주의 안에 이미 세계 변혁적인 비전이 담겨져 있음을 예리하게 드러낸다. 그들의 신학적 전제에 충실할 때, 그들은 이 세계에 정의와 샬롬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은 참 매력적이다. 내 평생의 작업도 바로 여기에 놓여 있으니까.

 

     슬픈 현실은 이 책의 초판이 나온 지 20년이 훨씬 더 넘었음에도, 책에서 지적한 것과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는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전히 세계는 강대국들이 설정한 질서에 따라 움직이고 있고, 인종적 갈등과 빈부격차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기독교인들도 이런 사회의 변화를 올바로 집어내지 못하고 그저 번영과 강자를 위한 논리를 개발하고 있으니 심각한 일이다. 오늘날 기독교에 대한 많은 비난이 부분적으로는 여기에 기인하는 것임을 부인할 수도 없을 것이고.

     그들이 믿고 있는 것이 세계 형성적 기독교라는 것을 바르게 인식시키는 것으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누군가가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형성해 놓은 이 세계의 구조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며, 종종 그 자체로 죄를 짓는 일이 될 수 있음을 기독교인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들이 가져야 할 비전은 훨씬 더 크며, 처음부터 마지막까지를 모두 시야에 넣고 살아가야 하는 존재들이다. 성경이 이를 보여주고 있다.

 

     기독교 사회참여에 관한 고전이라는 책 소개가 전혀 부끄럽지 않을 만큼 훌륭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세상을 품는 큰 꿈을 꾸는 그리스도인이라면 꼭 읽어야 할 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빵맨 2009-03-23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 다섯개... 저도 공감합니다.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
지금 페이퍼를 쓰고 있는데.. 블로그에 관한 페이퍼인데요.

과연 블로그는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만 '결국' 장기적인 운영을 하게 될까요..??
주인장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뜬금 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

노란가방 2009-03-23 13:42   좋아요 0 | URL
블로그 운영의 목적이 어디를 향하고 있느냐에 달려있지 않을까요.
저 같은 경우는 우선 저 자신을 위해 블로깅을 하는 터라
누가 보든 안 보든 그냥 쭉 운영할 것 같구요..
다른 무슨 목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그 목적이 잘 될 때야 계속 운영하시지 않을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