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와 함께한 가장 완벽한 하루
데이비드 그레고리 지음, 서소울 옮김 / 포이에마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예수와 함께 저녁식사를 하고 돌아간 닉. 그는 어떻게 되었을까. 바로 이 책에 그에 관한 후기가 살짝 등장한다. 평소 일중독에 빠져 살았던 그는, 이제 집으로 돌아와 아내와 딸을 위해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하나님을 좀 더 잘 알기 위해 정기적으로 교회 예배에 참여하고 성경공부도 시작했다. 이제 만사가 행복하게 끝나게 된 걸까?

     하지만 그의 아내 매티는 남편의 이런 변화가 마뜩치 않았다. 종교라면 질색을 하는 그녀는 남편이 갑자기 ‘예수쟁이’가 된 것을 두고 당황했고, 마침 부업으로 하던 디자인 일과 관련해 출장을 가게 되면서 그와의 결혼생활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이 때 슬그머니 나타난 옆 사람 제이(J). 늘 그렇듯 그는 관심 없는 듯한 마디를 툭 던져 상대의 마음 문을 열어 놓고, 차근차근 대화를 시작한다. 그리고 대화를 마칠 때 즈음 매티는 이미 하나님의 존재에 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이 된다.



 

2. 감상평 。。。。。。。

 

     전작인 ‘예수와 함께 한 저녁식사’의 후속편이자 내용상으로도 후편에 해당하는 책이다. 종교에 대해 썩 탐탁지 않게 여기던 주인공이 예수와의 대화를 통해 하나님을 찾는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이상적인 이야기다. 잘 설득하면 하나님을 믿게 만들 수 있다는 환상.

     하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책 역시 중요한 논리적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믿지 않는 사람도 깊이 생각하면 결국 하나님을 인정하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있다고 가정하면 기독교의 설명들을 받아들이는 것도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을 뿐이다. 즉, 중립의 위치에서 사고를 통해 하나님을 믿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발을 믿는 쪽에 두어야 이야기가 되는, 그런 책이다. 불신자들은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그럼 신이 없다는 가정 아래 내 이야기를 들어 보시오.’

 

     그렇다고 이러한 약점 때문에 이 책이 쓸모없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대신 내 생각에 이 책은 불신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믿게 만드는 데보다는, 이미 어느 정도 기독교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이 어떤 이유로 자신의 삶에 회의를 느끼게 되었을 때 추천해 주면 더 좋을 것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가정 문제, 개인적인 상처들, 외식화 된 교회생활로 인해 받은 생채기들을 위로하고 치유하는 데 책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여기에 언급된 것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또 기독교가 가지고 있는 좀 더 원초적이고 단순한 메시지를 듣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읽어보기를. 물론 전작을 읽고 그 뒤 무슨 일이 일어났는 지 궁금한 사람도 읽어볼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