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이라는 말은 많은 사람들에게는 꺼려지는 수식어이다.
'저 사람은 비판적이야'라는 말에는 분명히 부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사람들은 비판적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고,
종종 그런 사람을 미워하기도 한다.
(그 사람의 비판이 자신을 향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 경우에는
이런 경향이 좀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호메로스가 쓴 '일리아드'라는 책에 보면 트로이 전쟁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아무리 공격을 해도 트로이성을 점령할 수 없었던 그리스 군은
거대한 목마를 만들어 그 안에 병사들을 숨겨 놓는다.
하지만 트로이 성의 사람들은 그 목마에 숨겨진 함정을 눈치채지 못하고
그것을 전리품으로 성 안으로 들여오고자 했다.
그 때 그것을 막았던 사람이 한 명 있었으니,
크산드라라는 이름의 공주였다.
그녀는 목마를 성안으로 가져오면 불행이 닥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런 부정적인 예언은 무시했고,
결국 성은 정복을 당하고 말았다.
누군가 말했던 대로,
인류는 크산드라 이래로 늘 부정적인 견해를 표하는 사람을 멀리해왔다.
하지만 바로 여기에 딜레마가 있다.
비판적인 사람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살 다 보면 그런 사람이 필요할 때가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나 같은 사람도 필요할 때가 있다.)
비판이 사라진다면 세상에 도무지 '발전'이라는 것은 없을 것이다.
비판이란 지금 당하고 있는 불편이나 눈 앞에 벌어지는 잘못을
잘못되었다고,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는 것이니 말이다.
비판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어쩌면 자신을 망하게 할 트로이의 목마를 끌어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비판과 유사하지만 그 부정적인 개념을 제거한,
'좋은 의미의 비판'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
소위 '비판'과 '비평'의 구분이 그 결과물이다.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바르지 않은 부분을 지적해 드러내고 그 책임을 묻는 일'이라는 뉘앙스이다.
그렇다면 차이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한다.
비평은 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 잘못을 지적하는 것이지만,
비판은 주관적인 가치관으로 약점을 공격하는 행위라고.
그럴까?
이 정의에서 '잘못'과 '약점'은 사실은 같은 말이다.
또, '지적'과 '공격'이라는 말도 같은 행위를 가리킨다.
아마도 둘 사이의 차이점은
그 지적(혹은 공격)의 목적이나 전제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지적되는 차이는 '목적'에서 발견된다.
상대를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 하는 지적과 공격은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나쁜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상대를 좋아하지 않아도, 아니 싫어하더라도 비평은 가능하다.
사실 우리가 살면서 만나는 많은 사람은 특별히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는다.
꼭 선의나 악의를 갖지 않더라도 우리는 비평이나 비판을 할 수 있다.
좋아하지 않으면 말을 하지 말라는 투의 지적이라면 적절하지 못하다.
두 번째 기준인 '전제' 역시 애매하기는 마찬가지다.
비판이든 비평이든
어차피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기준을 가지고 상대를 평가하는 것이다.
누가 자신의 기준을 절대로 틀리지 않는 완전한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겠는가.
또 한 가지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구분법은 '대안'의 여부다.
그게 싫으면 다른 대안을 내라는 것이다.
그래서 종종 정당한 비판인데도 불구하고
'대안도 없이 무책임하게 비난만 한다'는 핀잔을 듣기도 한다.
하지만 잘못된 것을 잘못되었다고 하는데에 무슨 대안이 필요하다는 말인가.
틀린 것을 지적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일이다.
아마도 이런 식의 구분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말라'는 데 중점을 두는 듯하다.
그러나 비판, 또는 비평이라는게 필연적으로
상대를 공격(또는 지적)을 하는 행위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그건 희망사항에 가깝다.
비판에 대한 이러한 오해는 건전한 비판과 토론 자체를 막아서
결국 모두가 함께 그 피해를 받기 마련이다.

적절한 비판과 적절치 않은 비판의 차이는 다른 데 있다.
둘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는 말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있다.
상대의 말을 들으려고 하는지, 그렇지 않는지에 있는 것이다.
비방/비난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말에 대한 반론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들의 대화방식에서 상대는 늘 '악'이다.
늘 상대를 '수구꼴통'이나 '빨갱이'로 몰아붙이는
정치인들에게서 그 예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정당한 비판이나 비평을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하는 말에 열린 자세로 귀를 기울인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옳지 않으면 어떤 부분이 옳지 않은지,
옳다면 자신의 이야기 중 어느 부분이 틀렸는지를 대답으로 보일 것이다.
발전적 제안은 이런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처음부터 대안을 가지고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소위 건전한 비판이란
'상대의 말을 들으려고 하는 자세'를 가진 상태에서 가능한 것이다.
그것을 비평이나 또 다른 어떤 단어로 부르던 말리진 않겠다.
다만 이 글을 읽는 당신이 기억해 주기를 원하는 것은,
부디 다른 사람에게 귀를 기울이면서 지적을 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을 보게 되면 처음부터 '비판적인 사람'이라는 주홍글씨를 가슴에 새기지 말고
차분히 말을 들어주었으면 한다.
그 사람이 비판을 하고 있는지, 비난을 하고 있는지,
그냥 내가 듣기에 기분 나쁘기 때문이 아니라,
그 사람이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지 말이다.
최소한 이 두 가지 규칙만을 잘 지킨다면
싸움은 훨씬 줄어들고, 문제는 좀 더 쉽게 해결될 것이다.
사실 다툼을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은 비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생각을 들을 생각조차 하지 않는,
'완고한 독선적인 정신상태'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더 많다.
여기에는 말을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 모두가 포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