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군주론
프란체스코 귀치아르디니 지음, 이동진 옮김 / 해누리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석궁의 성능은 화살을 쏘아보면 안다.

마찬가지로 군주가 유능한지 여부는

그가 파견하는 사람들의 능력을 보면 알 수 있는 것이다.

 

     역사가로도 유명했던 귀치아르디니의 책이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면서, 여러 통의 서신 교환을 했던 인물이자, 피렌체의 고위 외교관으로 재직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시오노 나나미의 글을 통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같은 이름의 책을 또한 썼다는 내용을 읽었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도서관에서 발견해 펴 보게 된 책이다. 이 책을 펴낸 사람들은 마키아벨리와 구별을 원했는지 책 앞에 ‘신’이라는 글자를 하나 더 붙여 놓았다. 왠지.. 격이 떨어지는 효과가..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마키아벨리의 그것과는 성격이 많이 달랐다. 마키아벨리의 책이 ‘유능한 군주’가 되는 법을 일러주는 책이라면, 귀치아르디니의 책은 수십 년 동안 외교관, 정치인으로 일해 온 한 인물의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놓은 것에 불과했다. 군데군데 제법 인간의 심리에 관한 몇 가지 고찰이 있기는 했지만, 대개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것들이었고, 나머지 대부분은 ‘외교관, 정치인으로 살아남는 법’을 말하는 것일 뿐이었다. 세계를 보는 큰 안목도 부족했고, 생각의 폭도 좁았다. 마치 삼국지를 읽고 난 뒤에 읽는 수호지의 느낌이라고 할까.

     책을 읽는 내내 느꼈던 점은, 저자의 정신세계에 대한 낮은 인식이다. 특별히 종교의 영역에 대해 저자가 가지고 있는 상당한 ‘악감정’이라고 밖에 할 수 없을 듯 하다. 물론,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 교황을 비롯한 당시 종교지도자들의 실망스러운 행태를 직접 눈으로 보고 겪었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가질 수도 있지만, 덕분에 인간의 주요 심성중 하나인 종교적 심성에 대한 고찰의지 자체를 버렸다는 것은 한계라고 지적될 수밖에 없다. 책이 가볍게 느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정신적인 면이 차지하는 부분이 얼마나 큰 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요즘 잘 나오는 격언집과 같은 책이다. 마키아벨리의 책과의 비교를 위해서 읽어보는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