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을 타고 잘 가지 않던 곳에 가야할 때가 있다.

그냥 한 번에 갈 수 있다면야 다행이지만,

두 세 번 갈아타야 할 경우라면 걷는 것도 일이다.

자칫 갈아타는 위치보다 먼 곳에 일부러 걸어갔다가

다시 고생하며 돌아와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가능한 적게 걸어서 지하철을 갈아타는 위치.

(어쩌면 이건 나를 위한 글일지도..;;)

이왕이면 딱 맞는 위치에 서서 먼 길을 편하게 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가.

 

 

요즘에는 인터넷을 통해 이런 정보가 잘 나와 있다.

지하철 노선 검색 페이지를 이용하면 목적지까지 가는 최단거리와 소요비용,

그리고 몇 번째 칸의 몇 번째 문에서 타면

최소한으로 걸어서 편하게 갈아탈 수 있는지도 나온다.

 

 

하지만 모든 여행에 그렇게 먼저 인터넷을 검색하기는 어렵다.

가끔은 긴급하게 지하철을 타고 어딘가에 가야하지 않겠는가.

이럴 때 한 가지 팁이 있다.

 

 

지하철 역 바닥을 보면

선명한 노란색으로 된 타일이 줄지어 붙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런 타일은 올록볼록한 입체감이 있다.

이름하여 '점자 블록'이다.

시각장애인들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시설물이다.

 

 




 
 

포인트는 바로 이 '점자 블록'을 따라 걷는 것이다.

점자 블록은 아까 말했던 대로,

시각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이다.

그 블록이 인도하는 대로 따라가면 지하철을 타고내리는데

문제가 없도록 말이다.

 

 

그냥 걷기도 쉽지 않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 놓은 거라면

당연히 가능하면 적게 걷고도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므로 처음 가는 길을 갈 때는,

가능하면 점자 블록을 따라서 걷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점자 블록이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본 사람이라면,

최단 거리보다 한 칸 내지 두 칸 정도 멀게

설계되어 있다는 것을 눈치 챌 수 있었을 터.

 

 

아마도 비 장애인들이 최단거리를 이용하기 위해

서로 밀치고 뛰어다니는 것을 설계자가 본 듯 하다.

자칫 부딪히기라도 한다면 시각 장애인으로서는 위험하니까

차라리 한 두 칸 옆에서 인도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나보다.

하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볼 때

점자 블록을 이용하면 편하게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다.

아니, 그래야 한다.

 

 

혹시라도 내 관찰이 틀린 경우를 발견했다고 하더라도

나한테 직접 비난의 화살을 돌리지는 않기 바란다.

그건 우리나라의 행정을 기획하는 사람들이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얼마나 부족한가를 보여주는 것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