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철을 타고 잘 가지 않던 곳에 가야할 때가 있다.
그냥 한 번에 갈 수 있다면야 다행이지만,
두 세 번 갈아타야 할 경우라면 걷는 것도 일이다.
자칫 갈아타는 위치보다 먼 곳에 일부러 걸어갔다가
다시 고생하며 돌아와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이 가능한 적게 걸어서 지하철을 갈아타는 위치.
(어쩌면 이건 나를 위한 글일지도..;;)
이왕이면 딱 맞는 위치에 서서 먼 길을 편하게 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가.
요즘에는 인터넷을 통해 이런 정보가 잘 나와 있다.
지하철 노선 검색 페이지를 이용하면 목적지까지 가는 최단거리와 소요비용,
그리고 몇 번째 칸의 몇 번째 문에서 타면
최소한으로 걸어서 편하게 갈아탈 수 있는지도 나온다.
하지만 모든 여행에 그렇게 먼저 인터넷을 검색하기는 어렵다.
가끔은 긴급하게 지하철을 타고 어딘가에 가야하지 않겠는가.
이럴 때 한 가지 팁이 있다.
지하철 역 바닥을 보면
선명한 노란색으로 된 타일이 줄지어 붙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런 타일은 올록볼록한 입체감이 있다.
이름하여 '점자 블록'이다.
시각장애인들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시설물이다.

포인트는 바로 이 '점자 블록'을 따라 걷는 것이다.
점자 블록은 아까 말했던 대로,
시각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이다.
그 블록이 인도하는 대로 따라가면 지하철을 타고내리는데
문제가 없도록 말이다.
그냥 걷기도 쉽지 않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 놓은 거라면
당연히 가능하면 적게 걷고도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므로 처음 가는 길을 갈 때는,
가능하면 점자 블록을 따라서 걷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점자 블록이 '최단거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본 사람이라면,
최단 거리보다 한 칸 내지 두 칸 정도 멀게
설계되어 있다는 것을 눈치 챌 수 있었을 터.
아마도 비 장애인들이 최단거리를 이용하기 위해
서로 밀치고 뛰어다니는 것을 설계자가 본 듯 하다.
자칫 부딪히기라도 한다면 시각 장애인으로서는 위험하니까
차라리 한 두 칸 옆에서 인도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나보다.
하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볼 때
점자 블록을 이용하면 편하게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다.
아니, 그래야 한다.
혹시라도 내 관찰이 틀린 경우를 발견했다고 하더라도
나한테 직접 비난의 화살을 돌리지는 않기 바란다.
그건 우리나라의 행정을 기획하는 사람들이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얼마나 부족한가를 보여주는 것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