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판토 해전 ㅣ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4
시오노 나나미 지음, 최은석 옮김 / 한길사 / 2002년 9월
평점 :
강국이란 전쟁과 평화를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나라입니다.
감상평 。。。。。。。
‘시오노 나나미 전쟁 3부작’이란 이름을 걸로 나온 책의 마지막 권이다. 첫째가 콘스탄티노플 함락, 두 번째는 로도스섬 공방전, 그리고 세 번째가 레판토 해전이다. 이 세 사건의 공통점은 문명간의 전쟁이라는 것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 문명과, 투르크 세력의 이슬람 문명. 일신론을 믿는 두 문명답게, 자신의 가치관 이외에는 인정하지 않기 마련이다. 따라서 전쟁은 필연적으로 치열해 진다. 물론 실제 전쟁이 벌어지는 데에는 이런 이상론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전쟁으로 인한 이득을 치밀하게 계산하는 저자 시오노 나나미는 그러한 이면의 계산까지도 자신의 소설에 말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는 중세다. 상당수의 사람들은 그 이념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런 이념적 대립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리고 그 와중에 가장 실리추구에 밝았던 베네치아에 대해 특별히 우호적인 시각, 아니 전적으로 변호하고자 하는 변론자의 역할을 자청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비단 전쟁 3부작뿐만 아니라, 저자의 다른 대부분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는것이다.
레판토 해전에 대해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그것이 중세의 종말을 고하는 전쟁이라는 점이다. 레판토 해전으로 투르크 세력의 유럽 진출이 좌절된 것은 사실이지만, 사실상의 승리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베네치아 역시 얼마 못가서 쇠락하고 만다. 시대는 프랑스, 스페인, 영국 같은 영토국가의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는 이 점을 상당히 아쉬운 눈으로 바라보는 듯 하다. 그리고 저자의 펜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독자도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
시오노 나나미의 글에는 소설적인 생생한 묘사는 부족하다. 그건 아마도 저자의 취향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대신 그의 글에는 정교한 묘사가 존재한다. 역사라는 장르를 택해서 글을 쓰기 때문에, 그러한 경향이 나타난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점이 내가 시오노 나나미의 글을 계속 읽는 이유 중의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일단 철저한 자료수집. 그 후에야 자신의 상상력을 가미해 과거의 사건을 눈앞에 보이는 것처럼 기술한다. 전쟁에 대한 묘사 역시, 포탄이 떨어지는 소리, 칼이 맞부딪히는 소리를 쓰기 보다는, 거기에 사용된 무기의 종류, 수, 배치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앞의 책인 『로도스 섬 공방전』보다는 조금 더 짜임새 있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저자의 뿌리 깊은 정신적 가치에 대한 비하와, 실리제일주의의 관점은 계속 거슬리는 요소이긴 하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