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

한문으로 쓰면 '誤解'라고 쓴다.

그릇될 '오'에, 풀 '해'를 사용한다.

말하자면 오해란 '잘못 풀어냈다'는 뜻이다.







무엇을 잘못 풀어낸 것일까?

아마도 오해를 하게 된 대상이 지닌

본래의 사실이나 의미, 의도를 잘못 풀어낸 것이 아닐까 싶다.







사람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많은 오해를 하게 된다.

어떤 질병에 대해 오해를 해서

병에 걸린 사람들을 두 배, 세 배 힘들게 만들기도 하고,

특정한 사건의 전후관계에 대한 오해를 해서

엉뚱한 피해자를 만들기도 한다.

에이즈나 한센병과 같은 질병에 대한 오해가

전자의 예가 될 것이고,

실미도라는 영화로 인해 졸지에 범죄자들로 몰린

- 하지만 사실은 국가 권력에 의해 강제 납치된 -

젊은이들이 후자의 예가 될 것이다.






사람에 대한 오해도 매우 자주 일어난다.

아니, 사람들이 가장 자주 하는 오해의 종류일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 '사람에 대한 오해'는,

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정상적으로 진행되던 관계라고 하더라도,

한 순간의 오해로 말미암아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는 경우를

우리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의처증, 의붓증으로 불리는 배우자에 대한 의심은

오해가 때로는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깨닫게 만드는 예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은 오해라는 것을 할까?

오해의 원인을 안다면,

그것이 가져오는 해악을 조금이라도 감소시킬 수 있지 않을까.






내가 생각하기에,

오해란......

자신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물어보지도 않고

완전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그런 오만함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오해란, 실제는 그렇지 않은데 내가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믿어버리는 것이다.

왜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도 그렇다고 믿어버리는 것일까?

그건 충분하고 정확한 정보를 구하고자 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그 전에 그런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정확한 정보, 불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판단을 내리면서,

자신의 판단이 정확할 것으로 강하게 믿어버리는 태도.

그것이 오해이다.

이 얼마나 오만한 태도인가.







물론 어떤 오해는 얻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가지고 내렸을 수도 있다.

한 개인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란 대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오해는 오만함의 범주에서 예외로 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대부분의 오해는 그런 오만함에 다름이 아니다.






그런 오만함으로 시작했기에

오해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 고압적인 태도로 나오기 쉽다.

그의 해명(대개는 변명으로 받아들인다)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자신의 주장만을 되풀이하며 상대에게 받아들일것을 요구한다.





오해에 빠진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은,

시간이 갈 수록 오해에 대한 신념이 점점 굳어져간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단지 '느낌'의 영역에 속해있었던 것에 불과했다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이 '사실'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과 판단만이 옳은 것이 되어버린다.





왜 그렇게 될까?

사람의 말엔 '힘'이 있기 때문이다.

말은 사실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일단 한 사람이 어떤 말을 해 버리고 나면,

그 말로 인해 그 사람의 생각, 행동까지 달라지게 된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신이 한 말에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이 맞춰가는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일종의 자기암시라고나 할까.






그걸 자기암시라고 부르던, 말의 힘이라고 부르던 간에,

그렇기 때문에 한 번 오해에 빠진 사람들은

스스로 그 오해에서 빠져나오기가 매우 힘들다.

때문에 오해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 번 빠져버리고 나면,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우리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오해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까.

간단한 얘기지만

오해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다.

서로간의 충분한 의사소통이야말로 오해를 피해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실 새로운 것도 없는 그런 것이다.

하지만 의외로 현실세계에서는

이 방법을 그대로 실천하는 사람이 적은 것도 사실이다.

상대에 대한 선입관이 방해를 하고,

때로는 자존심이 이 방법을 취하는 것을 반대하기도 한다.

역시 '각각 자기를 남보다 낫게 여기기' 때문이다.







대화를 하는 대개의 사람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기 보다는,

그 얘기에 내가 어떻게 대답을 해줄까를

더 공들여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건 내가 생각해 낸 말이 아니라 『인간성에 관한 풍자 511』이라는 책에 나온 말이다.)

당연히 상대방의 이야기를 정확히 듣지 못하고,

충분한 의사소통 따위는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자기 중심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터무니없는 선입관도, 

자신에 대한 지나친 자부심도 갖게 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한 번 해 보는 건 어떨까.

그냥 잘 들어주는 것이다.

상대는 나의 조언에서 해답을 찾기 보다는,

자신의 말에 관심을 갖고 잘 들어주는 내 모습에서 용기를 얻고

돌아가서 스스로 해답을 찾을 수 있을꺼라고 믿어보는 것이다.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들어보자.





결국 오해란,

내가 얼마나 상대방의 입장에 서고자 노력했느냐에 따라

빠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닐까.

'나'를 내려놓고, '너'가 되어 보는 것.

그리고 '나'의 입장에서 내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상대의 입장에서 내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상대의 생각까지도 내가 대신 판단하려는 오만함을 놓을 때,

오해의 함정에서 빠져나올 수 있지 않을까.

그런거라면.... 나도 아직 먼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