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로 마라 -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첼로 이야기
볼프 본드라체크 지음, 이승은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좋은 느낌이다.

행복하다.

나는 음악을 완성하고 대가는 나를 연주한다.

이것이 악기가 누리는 축복이다.

 

 

1. 줄거리 。。。。。。。

 

     스트라디바리우스라는 세계적인 명장이 탄생시킨 한 악기의 생(生)을 되 집어 보는(악기한테 이렇게 써도 되나 싶긴 하지만) 책이다. 악기가 처음 제작되었을 때부터 그의 소유주가 되었던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침몰 사고로 인해 부셔졌다가 극적으로 다시 복원된 일 등 작가는 의인법을 사용해 첼로로 하여금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도록 만든다.



 

2. 감상평 。。。。。。。

 

     음악에 관한 책을 하나 읽어야겠다고 생각하던 중 마침 이 책이 눈에 들어왔다. 악기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의 일생을 훑어보는 작업이 꽤나 흥미롭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나처럼 음악에 대해 조예가 없는 사람에게는 처음부터 전문적인 책을 읽기 보다는 이렇게 대각선으로 음악에 접근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는 판단도 들었다.

     책 자체는 딱딱한 설명 투로 되어 있지 않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해 주는가 싶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말랑말랑 했던 걸까? 첼로를 주인공으로 1인칭 주인공 시점의 일종의 자서전을 쓰고자 했던 저자는 아주 자신과 첼로를 동일시했는지(사실은 그래봤자 작가 자신의 감상을 첼로의 생각을 빌어 쓴 거겠지만) 첼로가 느꼈을 감상을 서술하는데 책의 대부분을 할애해 버렸다. 자연히 수사구들은 늘어나고, 이야기는 길어지고, 당대의 느낌보다는 현대인이 당대를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에 대핸 서술들만 잔뜩 등장한다.

     애초에 이 책을 골랐던 두 번째 목적인, 비껴치는 역사 읽기를 통해 음악사에 관한 단편들을 약간이라도 습득하기를 바랬던 것은 사실상 허탕으로 끝나버렸다. 책을 읽고 나서 알게 된 사실은, 소위 명기(名器)라고 불리는 명품 급 악기들에는 최초 소유자의 이름을 붙인다는 것, 스트라디바리우스라는 명인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초기에는 첼로의 줄을 동물의 내장으로 만들었다는 것 정도? 사실 완전한 무식쟁이가 이 정도라도 알게 된 건 아예 소득이 없다고 할 수도 없다.

 

 

     작가의 상상력이 지나치게 뻗어나간 건 아닌가 싶은 점만 빼면 그런대로 괜찮은 책이다. 하긴 상상력에 ‘어느 정도’를 부여하기가 말처럼 쉬운 것도 아니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