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세이 왜건, 인생을 달리다
시게마쯔 키요시 지음, 오유리 옮김 / 양철북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이제야 알았다.

믿는 것과 꿈꾸는 것은, 미래가 있는 사람만의 특권이다.

믿었던 것에 배신당하거나, 꿈이 산산조각 나거나 하는 것도,

미래를 차단당한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틀림없이 행복인 것이다.

 

1. 요약 。。。。。。。

 

     회사로부터 정리해고를 당하고 만 가장(家長) 가즈오. 하지만 가족으로부터의 따뜻한 위로와 격려 따위는 기대할 처지가 못 된다. 아내는 바람이 나서 집에 들어오지 않는 날이 잦아지고, 아들은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으로 히키코모리가 되어 방에서 나오지 않는다. ‘이제 죽어도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그 때, 한 대의 오디세이 왜건(일본에서 출시된 차의 이름)이 그의 앞에 나타난다.

     죽음을 결심한 사람들을 태우고 그들의 인생의 중요한 기점이 되는 순간을 다시 체험하게 해 주는 오디세이 왜건. 가즈오는 왜건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 젊었을 때 모습으로 나타난 아버지와 함께 삐뚤어진 현실을 바꾸기 위해 애를 쓴다.

 

 

 

2. 감상평 。。。。。。。

 

     사람들은 살면서 수많은 후회를 하곤 한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가즈오는 썩 괜찮은 가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었지만, 사실은 미세한 균열이 오래 전부터 생기고 있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 그 때 조금 더 아내에게 관심을 가져주었다면, 그 때 아들과 마음을 허심탄회하게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면 하는 후회들은 오늘을 살아가는 보통 사람들이 수없이 하는 그런 종류의 후회들이다.

     자연히 ‘가즈오는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책의 후반부로 가면서 가장 중요하게 떠오른다. 현실에서는 그런 식의 ‘다시 사는 것’이 허락되지 않기에, 독자들은 가즈오를 통해 일종의 대리만족을 기대한다. 다시 사는 삶에서 그는 아내를 용서하고, 아들을 이해하고, 아버지와 화해를 한다. 참 많은 사람들이 마음속으로만, 후회 속에서만 했던 일들을 저자는 소설이라는 문학적 도구를 통해 실현시킨다. 문학의 멋진 힘이다.


 

     주인공은 일의 결과를 알고 있기에 현재의 삶을 더 열심히 살 수 있었다. 이 점은 아들과의 첫 드라이브에서 사고를 당해 죽고 만 아버지의 영혼이 남아 죽음을 결심한 사람들을 태우고 그들의 인생에서 중요한 기점이 되는 순간을 다시 체험하도록 해 준다는 불교적 설정을 희석시켜준다. 책 속에 드러나는 주인공의 모습은 끊임없이 돌고 도는 윤회관도, 죽으면 끝이라는 유물론적 허무주의도 아닌, 직선적 시간관을 살아간다. 시간과 인생에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은 역시나 시작이 있고 끝이 있는 시간관에서야 가능한 법이다.

 

     스포일러가 될지 모르겠지만, 주인공은 중요한 기점들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켰음에도 결국 현실을 변화시키지 못한다.(아.. 물론 아주 작은 변화는 있었다) 어쩌면 이것은 삶을 변화시키는 것은 중요한 한 두 번의 행동이 아니라 오랜 시간동안 쌓여 나가는 일상적인 작은 경험들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듯하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좀 더 관심어린 눈으로 바라보고, 특히 쉽게 소홀해지기 쉬운 가족에게 좀 더 애정을 담아 행동하자. 저자가 독자들에게 하고 싶었던 말은 이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가족의 해체화 과정이 일본에 못지않게 빨라지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책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