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 DVD 세트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동물들에게 겪게 했던 것을 우리 자신이 겪고 있는 거야"

 

 

        밖이 보이지 않는 유리 상자 같은 곳에 한 남자가 갇혀 있다. 그리고 잠시 후, 한 여자가 또 그 상자 안으로 떨어진다. 그 둘은 그 곳에서 처음 만났다. 남자는 화장품 회사의 연구원이고, 여자는 서커스단의 호랑이 조련사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사람이, 너무나 낯선 곳에서 만났다. 그 곳은 어디일까? 왜 그들은 그 곳에 있는 것일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다른 소설에서 이미 이와 유사한 착상이 반영된 글들이 있었다. 때문에 책의 극 초반부에서 어느 정도 짐작을 할 수 있었지만, 너무 잦은 설정이 아닌가 하고, 반전(?)을 기대했으나, 역시나 같은 설정이었다. 그들은 외계인에게 납치되어 '사육 상자' 안에 갇힌 것이다. 


 

        일견 무슨 황당한 설정이냐고 반문을 할지도 모르지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장점은 그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제법 심각한 이야기를 진지하게 이끌어 간다는 것이다. 이 책 역시 마찬가지이다. 베르나르는 이 책을 통해 ‘어려운 이야기꺼리’인 인간 본성에 관한 논의, 인간이라는 존재의 가치에 관한 논의를 시도한다. 

        상자 안에 갇힌 두 사람의 시시각각 변하는 심리상태의 변화, 그리고 그들 사이의 대화를 통해, 저자는 인간은 선한 존재인가 악한 존재인가, 그리고 인류의 모험이 계속 진행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 논의는 그들을 사육하던 외계인들이 핵전쟁으로 인해 지구가 멸망하는 장면을 텔레비전(논리상 난감한 소설적 장치다.)을 통해 그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통해 촉발된다. 이제 남은 인간은 그들 둘 뿐이다. 스스로 자살을 해버린 인류. 과연 그들 둘은 2세를 낳아 인류라는 종을 지속시켜야만 하는 당위성을 가지는가가 문제의 일차적인 초점이었다. 



        결론은 저자로서도 명확하게 내고 있지는 못하다. 상자 안의 두 사람은 그 문제를 두고 모의 법정을 열어(다분히 프랑스인적 기질이 강한 인물상이다. 그런 상황에서 연극이라니..) 결론을 내고자 한다. 결론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계속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그 ‘재판’의 논리적인 결론에도 불구하고, 그 둘은 그렇게 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논리로는 상황의 변화를 전혀 가져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정적인 변화의 요인은 감상적인 요소였다. 남자 주인공의 과거의 아픔을 들은 여자 주인공의 심적인 동요가 그들을 가까워지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어쩌면 저자는 인류의 지속은 그런 논리적이고 당위적인 결론에 의해 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감정과 심리적인 요소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나타내고자 한 것일지도 모르겠다.(어디까지나 내 추측에 불과하다.) 



        책 전체에는 베르나르 특유의 유물론적인 관점과 반종교적인 관점이 남자 주인공인 라울을 통해 상당히 자주 표출되고 있다. 이 점은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였다. 이는 뉴에이지적인 저자의 또 다른 경향과 어떻게 생각하면 배치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저자 자신에게는 큰 문제가 안 되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 제시는 시도했으나, 그 결론에 대해 좀 더 진지하게 풀어나가는 부분이 약간 부족했던, 20% 부족한 느낌이 드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