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역사 21세기
마이클 화이트.젠트리 리 지음, 이순호 옮김 / 책과함께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재미있는 시도를 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책의 필자를 22세기에 살고 있는 한 가상의 인물로 설정해 두고, 그의 시각에서 ‘지난 시대’인 21세기에 있었던 일을 되돌아보는 형식으로 ‘가상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다. 아마도 저자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서 자신이 보는 미래의 모습을 그리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이 책을 영 황당한 공상과학소설로 볼 수도 없는 것이, 저자들의 이력이 단순하지 때문이다. 책에 나온 저자이력이 모두 사실이라면, 한 명은 수백 편의 논문을 제출한 과학 교수(정확히 전공이 무엇인지는 안 나온다.)이고, 다른 한 명은 NASA의 주임 연구원인 것이다. 

     이런 저런 면들을 고려해 볼 때, 이 책의 정확한 성격은 일종의 미래학 서적과 유사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내용이 아주 딱딱하거나 하지는 않다. 책의 형식은 역사서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의 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가상의 구체적인 인물들의 이야기를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내용 중 일부는 마치 소설을 읽어 내려가는 듯 했다. 

 


 

    책에서 그리는 미래는 긍정적이지만도, 부정적이지만도 않다. 

    일면, 미래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매우 긍정적으로 그려질 것처럼 보인다. 생명공학(특히 유전공학)의 발달로 의학 분야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줄기세포와 같은 연구들이 완성되어, 대부분의 병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수명까지도 연장된다. 하지만 여전히 인간이 정확히 알 수 없는 무엇인가가 존재하고, 그것으로 인해 치명적인 위험도 예상된다. 

    5장과 같은 부분은 과학으로 지은 유토피아를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들의 삶은 현재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한 가족의 구성원들의 생각을 따라가는 형식으로 그려진 5장은, 세계의 네트워크화, 대부분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재택근무, 의학의 비약적 발전, 각종 인간에게 만족을 주는 기기들의 등장 등, 말 그대로 과학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미래형이자 가능성을 담고 있는 표현)’ 유익들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미래의 어두운 측면들도 그리고 있다. 20세기 초에 있었던 것과 같은 세계적인 경제공황과 빈부격차의 심화, 자연재해(지진), 사이비 종교가들의 불안심리 조장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대혼란’의 시기, 우발적인 핵전쟁이 남길 끔찍한 고통과 심각한 위협들, 여전히 가난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대륙의 어린이들. 저자는 이런 것들을 그리면서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심각한 위협들로 표현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궁극적인 원천을 ‘인간의 선의’에서 찾는다. 그런 위기와 문제들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그 문제들을 인간 공통의 선의로서 풀어나갈 수 있는 위대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세계적인 핵확산 방지와 핵무기 감축을 위해 뛰는 한 의사, 기아퇴치세를 세계적으로 추진하는 어떤 사람, 하는 식이다. 
 




    요컨대, 저자들은 과학은 인간에게 전반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며, 일부 문제가 발생하겠지만, 인간들 내부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선으로서 그것을 잘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 과학자다운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관점은 이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주의에 기초하고 있다. 책의 내용 가운데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으며, 동성애와 같은 문제를 다루는 부분은 매우 위험스러운 정도이다. 저자는 물질적인 면에만 집중할 뿐, 정신적인 영역, 영적인 영역은 전혀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듯 보인다. 저자가 생각하는 정신적인 면이란, 기껏해야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인간들의 모습에서만 나타난다. 

    과연 그럴까? 이렇게 우연적인 요소(인간의 선의)에 많이 기대어도, 미래라는 사건이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까? 어떻게 그렇게 강력한 ‘믿음’을 가질 수 있었는지, 나로서는 놀라울 뿐이다. ‘인간’이라는 새로운 신앙의 대상을 찾아낸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